미달 수두룩한데… 정부, 지방대 반도체 “정원 확대”

입력 2022-06-13 00:04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0일 삼성전자 평택반도체 공장(평택캠퍼스)에서 공장 관계자로부터 설명을 듣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정부가 수도권 대학과 함께 지방대도 반도체학과 정원을 늘리기로 했으나 지방대 상당수는 학생 충원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대학의 정원 규제 완화에 반발하는 지방대를 달래기 위해 정원 확대를 약속한 것이 ‘구색 맞추기’란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12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3학년도에 반도체학과 신입생을 모집하는 대학은 전국 28곳이다. 서울에선 고려대 연세대 성균관대 한양대 등이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반도체 관련 계약학과를 선발한다. 비수도권에서는 국립인 카이스트 전북대 전남대와 사립인 포항공대 동아대 상명대 상지대 등이 반도체학과를 두고 있다.

서울에서 해당 학과는 대기업 취업 보장으로 수험생들로부터 인기가 높다. 의·약학 계열과 함께 최상위권이다. 반면 비수도권은 사정이 다르다. 지난해 입시 정시모집 원서접수 마감시각을 기준으로 보면 지방 사립대 8곳(대기업 계약학과 포항공대 제외) 중 선문대 극동대 중원대는 경쟁률이 1대 1 아래였다. 국립대 중 계약학과가 아닌 목포대 반도체응용물리학과도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매년 대학 신입생 규모는 정해져 있다. 더욱이 학령인구 감소로 지방대는 학생 충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벚꽃 피는 순서로 대학이 망한다’는 자조 섞인 전망이 나오는 것도 이 같은 현실을 반영한다. 이런 지방대에 반도체학과 정원이 늘어난다고 해도 수험생이 호응할지는 미지수다. 첨단학과 난립으로 다른 전공의 황폐화 우려도 적지 않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지방대 경쟁력을 높여 수험생 인식이 바뀌지 않는 한 수도권 쏠림은 당분간 불가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