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상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차기 당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의 투표 반영 비율을 조정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친명(친이재명)계가 요구해 왔던 사안이라 친문(친문재인)계는 즉각 반발했다. 우 비대위원장이 첫 일성으로 내놓은 전당대회 ‘룰 개정’ 방침이 새로운 화약고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우 위원장은 12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최근 2~3년 사이 당원이 굉장히 많이 늘어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비율이 1대 30이었던 것이 1대 90까지 늘었다는 얘기가 나온다”면서 “당원의 의견 반영 비율이 너무 낮지 않으냐는 불만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것은 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 위원장은 그러나 “다만 ‘몇 대 몇으로의 조정이 바람직하느냐’는 전당준비위원회가 만들어지면 거기서 합리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민주당은 전당대회 경선에서 대의원 45%, 권리당원 40%, 일반국민 여론조사 10%, 일반당원 여론조사 5%를 득표에 반영하고 있다.
한 친명 의원은 “현재 1만6000여명 수준인 대의원이 70만명 이상인 권리당원보다 투표 비중이 크다 보니 당대표 선거 때마다 당심이 굉장히 왜곡된다”며 “이번에 반드시 정리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의원의 표결 반영 비율을 줄이고, 당원 및 국민여론조사 비율을 높이자는 것은 친명계의 계속된 요구다.
그러나 친문계는 즉각적으로 반대 입장을 취했다. 한 친문 의원은 “이재명 의원의 대중적 인지도가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에 당원 표결 반영 비율을 높이는 것은 친명계에 절대적으로 유리하다”고 주장했다.
친문 핵심 의원은 “전당대회를 두 달 앞둔 상황에서 전대를 관리해야 할 비대위원장이 전당대회 룰 변경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면서 “꼭 개정해야 할 문제라면 다음 지도부에서 하면 된다”고 말했다.
우 위원장은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입법 과정에서 ‘위장 탈당’ 논란이 있었던 민형배 무소속 의원의 복당을 요청할 것인지 묻는 질문에는 “그럴 계획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또 최근 격화되는 계파 갈등에 대해 “인신공격과 흑색선전, 계파 분열적 언어를 엄격하게 금지하겠다”면서 “‘수박’이라는 단어를 쓰는 분들은 가만히 안 두겠다”고 경고했다.
우 위원장은 윤석열정부의 국정운영과 관련해선 화물연대 파업 문제를 예로 들며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할 정부·여당의 태도가 한심하다”면서 “(윤석열 대통령이) 손흥민과 사진을 찍을 때냐”고 비판했다.
최승욱 김승연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