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9일 “임대주택에 못사는 사람이 많다. 그래서 정신질환자가 나온다”고 말해 실언 논란에 휩싸였다.
이후 성 정책위의장은 “임대주택의 열악한 거주 환경을 설명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스에 대해 국가가 심리적 케어를 제공해야 한다는 입장을 설명하면서 (발언이) 나왔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맥락을 감안해도 부적절한 발언이었다는 지적이 당 안팎에서 쏟아졌다.
문제가 된 발언은 국민의힘 서울시당 6·1 지방선거 당선자대회 및 워크숍에서 특강을 맡은 성 정책위의장이 임대주택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중 나왔다. 그는 임대주택 내 싱크대와 벽지를 교체하는 주기가 10~20년으로 긴 점을 거론하며 “없는(가난한) 사람일수록 (집이) 편안하고 깨끗해야 할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이어 “여기 또 못사는 사람이 많다. 그래서 정신질환자들이 나온다”며 “방치할 수 없다. 사회문제가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동네 주치의 제도를 운영해 자연스럽게 (임대주택을) 돌면서 문제가 있는 사람은 상담해야 한다”며 “그분들(정신질환자)을 격리하는 조치를 사전적으로 하지 않으면 국가가 책임을 다했다고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성 정책위의장의 발언을 두고 비판이 쏟아졌다.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국민에 대해 얼마나 편견을 갖고 바라보면 그런 막말이 서슴없이 나올 수 있는지 기가 막힌다”며 “국민의힘은 성 의원의 국민 비하 막말에 대해 즉각 사죄하고 엄중 징계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행사에 참석했던 오세훈 서울시장도 “적절하지 못한 사례를 인용했다”고 지적했다.
성 정책위의장은 행사 뒤 기자들과 만나 “제가 표현을 잘못해서 그런 것 같은데 전혀 그런 뜻이 아니다. 오해하셨다면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그는 발언 취지에 대해 “(임대주택에서) 정신질환자가 나오는 게 아니라 생활이 어려운 쪽에서 그런 환자의 발생 빈도가 높다”며 “그런 분들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동네 주치의 등을 보내야 된다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별도의 입장문을 통해서도 “임대주택 거주자들이 느끼셨을 상심과 불편함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박성중 국민의힘 의원의 발언도 도마에 올랐다. 박 의원은 이번 선거에서 여당이 서울 지역 시·구의원 당선자를 대거 배출한 점을 언급하며 “7월 1일부터 업무가 가능하도록 우리와 맞지 않는 직원이 있다면 교체하도록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