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방역 선장’인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이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균형 중심의 방역정책’을 강조했다. 코로나19 확진자의 격리의무를 해제하는 데 대해선 신중론을 폈다.
백 청장은 9일 충북 청주 오송읍 질병관리청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젠 코로나19 경험을 기반으로 감염병 대응체계를 고도화할 시기”라며 이처럼 밝혔다. “개인적으로 영광인 동시에 무거운 책임도 느낀다”고 운을 뗀 그는 현 시기를 ‘방역 도약기’로 규정했다.
최우선 책무로는 근거 기반의 과학 방역을 들었다. 구체적으로 ‘빅데이터’에 방점을 찍었다. 지난 2년여간 축적된 데이터를 비롯해 곳곳에 흩어져 있는 감염병 정보를 한데 모으고, 목적에 맞게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전용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코로나19 발병 초기 강력한 입국 금지를 주장했던 백 청장은 이날 간담회에선 ‘균형’을 강조했다. 그는 “마냥 방역을 강화할 수만은 없는 시점”이라며 “(완화 시) 피해를 얼마나 감당할 수 있을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확진자 격리의무 해제도 원칙은 같다”고 말했다.
전문성 신장도 중장기 과제로 꼽았다. 내부적으로 역학조사와 빅데이터 관련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동시에 자문위원회를 신설해 외부 전문가 의견을 정책에 적극 반영한다는 취지다. 질병청 내 개방형 직위를 늘릴 가능성도 열어뒀다. 백 청장은 “안철수 당시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이 동문이라는 이유로 저를 추천했다곤 보지 않는다. 전문성·능력을 좋게 평가한 게 아니겠느냐”며 “(전문성 확보가) 제가 청장으로 오게 된 배경일 것”이라고 말했다.
당초 정치권 일각에서 전 정부 정책을 ‘정치방역’으로 규정했지만 이날 백 청장은 전임자를 언급하며 몸을 낮췄다. 그는 “(정은경 전 청장의) 노고에 깊은 경의를 표한다”며 “그 후임이라 많이 부담스러운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지난달 시작하겠다고 했던 전 국민 항체 양성률 조사는 절차 지연에 따라 다음 달 중 착수할 것이라며 사과하기도 했다.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만2161명으로 이틀째 1만명대를 기록했다.
청주=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