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의 총파업 이틀째인 8일 화물연대가 안전운임제 필요성을 역설하며 ‘끝장 투쟁’을 예고했다. 화물연대 총파업 외에도 노동계에선 대규모 결의대회 등이 줄줄이 예고돼 있어 본격적인 ‘하투(夏鬪)’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봉주 화물연대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민주노총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정부가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를 약속하지 않으면 자동차 생산라인을 멈추고 여기서 안 되면 유통·물류까지 완벽하게 멈춰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공장에서 미리 빼낸 물량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돼 버틸 수 있는 시간은 2~3일”이라며 “정부가 점점 탄압 일변도로 나간다면 투쟁 수위를 높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실제 화물연대는 항만 및 국가산업단지 파업만으로는 효과가 미비하다고 보고 완성차 공장을 타격하는 방향으로 방침을 세웠다. 현대자동차·기아 공장 등에 부품을 납품하는 차량 운행을 중단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파업은 완성차 탁송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화물연대의 강경 투쟁 배경에는 올해 안전운임제가 사라지면 제도가 부활할 수 없을 거라는 위기감이 깔려있다. 이 위원장은 “안전운임제가 소멸되면 다시는 안전운임이 만들어지지 못할 것”이라며 “유가 폭등에 대한 대안은 안전운임제밖에 없다”고 말했다.
화물연대는 경유값이 올라가도 화물 운송료는 그대로라 유류비 지출만큼 화물 노동자의 임금이 깎인다고 강조한다. 화물 노동자의 월평균 순수입은 약 342만원인데 경유가 인상으로 유류비를 100만~300만원 가까이 지출하면 사실상 수입이 ‘0’에 수렴한다는 게 화물연대 주장이다.
화물연대 측은 이번 파업이 과적·과로·과속을 막아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투쟁이라고도 강조한다. 이 위원장은 “컨테이너 시멘트 철강 석유화학단지의 비조합원 참여율은 70% 이상”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총파업 외에도 노동계의 대규모 투쟁은 여름 내내 이어질 예정이다. 오는 23일에는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서울 도심에서 1000명 규모의 결의대회를 연다. 다음 달 2일에는 민주노총의 전국노동자대회가 예정돼 있다. 지난해 7월 열린 민주노총의 전국노동자대회에는 주최 측 추산 8000여명이 집결했다.
민주노총 금속노조도 다음 달 말 조합원 20만명이 참여하는 총파업에 나선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역시 “올해 운동 방향은 투쟁에 무게 중심을 두겠다”라고 밝힌 상태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