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기존 3.0%에서 2.7%로 하향 조정했다. 한국 경제가 세계 경제 평균치(3.0%)에도 미치지 못하는 침체를 예고한 셈이다. 반면 한국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12월보다 2.7% 포인트 올린 4.8%로 내다봤다.
8일 OECD는 ‘경제전망’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중국 봉쇄 영향 등으로 세계 경제의 회복세가 전반적으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 성장률은 이런 세계 경제 전망치보다 0.3% 포인트 낮았다. OECD는 한국의 민간소비 회복 속도가 인플레이션 압력과 공급망 차질 등으로 완만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OECD의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6개월 전보다 배 이상 뛴 4%대 후반을 예상했다. 기획재정부는 “유럽연합(EU)의 러시아산 원유 금수조치로 여타 전망기관보다 내년 국제유가를 상대적으로 높게 전망한 것이 물가상승률 전망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설명했다. OECD 평균 물가상승률은 종전 전망보다 4.4% 포인트 상향한 8.8%였다. OECD는 한국에 기대인플레이션 안정적 관리, 취약계층 재정지원, 구조개혁, 공급망 복원력·에너지 안보 제고 등을 권고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이달 새정부 경제정책방향 발표를 앞두고 올해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 전망치 조정을 시사했다. 추 부총리는 이날 경제정책 전문가와의 간담회를 마치고 “전반적으로 전 세계 경기가 둔화되고 있고 (성장률을) 하향 조정하고 있어 우리도 예외는 될 수 없다”며 “앞으로 물가 상황은 계속 좋지 않을 것이고 (물가상승률이) 최소 5%는 되지 않겠나 싶다”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 성장률을 3.1%에서 2%대 후반으로, 물가상승률은 2.2%에서 대폭 높인 4%대로 전망할 것으로 관측된다.
세계은행(WB)도 전날(현지시간) ‘글로벌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9%로 하향 조정했다. WB는 “세계 경제가 미약한 성장과 높은 인플레이션이 장기화하는 시기로 접어들 수 있다”면서 “이는 스태그플레이션 위기를 높이고 있다”고 밝혔다.
세종=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