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세계 최초의 로봇 친화형 빌딩인 ‘제2 사옥(1784)’을 만든 핵심 첨단기술을 상용화해 ‘미래형 공간’ 대중화에 나선다.
네이버는 8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클라우드 강남오피스에서 간담회를 열고 “‘팀 네이버’가 갖춘 다양한 분야의 기술력을 성공적으로 융합시켜 만들어 낸 ARC와 5G 특화망 패키지를 2023년까지 상용화하겠다”고 밝혔다. 팀 네이버는 네이버랩스·네이버클라우드를 비롯한 6개 사업 법인과 클로바·아폴로 등 8개의 사내독립기업(CIC)으로 구성됐다.
ARC(AI·Robot·Cloud)는 ‘브레인리스 로봇’ 기술을 적용한 네이버의 클라우드 로봇 시스템이다. 본체에 내장된 기기가 아니라 인공지능(AI)·클라우드를 실시간으로 연결해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한다. 건물 내의 수십~수백대 로봇과 정보를 공유하며 자율주행 경로를 초저지연·실시간으로 제어한다.
이 기술들은 국내 첫 5G 특화망 사례인 1784에 적용됐다. 네이버는 삼성전자의 5G 장비를 활용해 자율주행 로봇 시범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내년 세종시에 구축하는 제2 데이터센터 ‘각 세종’을 AI·클라우드·5G·디지털 트윈·로보틱스·자율주행 등의 첨단 기술을 융합한 거대한 기술 테스트베드(시험공간)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네이버는 ARC와 5G 클라우드 상용화를 통해 기존의 건물들도 1784처럼 미래형 공간으로 탈바꿈할 수 있다고 본다. 석상옥(사진) 네이버랩스 대표는 “ARC가 로봇 대중화를 이끌 시스템이라고 본다. 어떤 로봇 제조사든 상관없이 ARC를 통해 대규모 공간 및 서비스 인프라와 효율적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