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산불 피해 극복을 위한 산림대전환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경북도는 8일 도청에서 ‘산림대전환 프로젝트 기본구상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보고회에는 도 산불지역 개발방안 태스크포스(TF) 실국을 비롯한 울진군과 용역수행자인 대구경북연구원 등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했다. 울진 산불피해지역의 여건을 분석해 피해 극복과 지역 재생을 위한 4대 전략과 16개 세부 과제를 도출했다. 이번 용역에서는 도가 산림대전환을 위해 구상해 온 산림과학클러스트, 산지생태원, 레포츠, 일자리프로젝트 등의 검토 결과를 도출했다.
4대 역량강화 전략프로젝트로는 산불대응력 강화(산불방지체계 정비 및 대응 역량강화), 산림복원력 강화(현장 중심의 산림생태계 복원 R&D 기반구축), 산림문화력 강화(산림문화의 힘으로 재난극복과 삶의 질 제고), 산촌경제력 강화(산촌공동체의 실질적 생계기반 마련) 등으로 정했다. 16개 세부과제 사업으로 산불대응력 강화 프로젝트 3건, 산림복원력 강화 프로젝트 2건, 산림문화력 강화 프로젝트 4건, 산촌경제력 강화 프로젝트 7건 등을 도출했다.
이 가운데 선도사업으로 국립동해안산불방지센터, 국립산지생태원, 국가동서트레일센터, 금강송목재자원화센터 등 건립을 제안하고 울진·삼척 산불특별법을 제정을 추진한다. 산불피해지를 활용한 산림과학지구와 산지생태원 등이 조성되면 산불로 소실된 산림의 과학적 관리 인프라 조성은 물론 산림일자리 창출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도는 지난달 14일 이철우 지사의 지시로 산불지역 개발 방안 마련을 위한 TF팀을 6개 반으로 구성해 울진산불 피해지역에 대한 조속한 복구와 지역경제회복을 위해 다양한 정책 사업을 발굴·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산림대전환 프로젝트의 세부 과제가 국가 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중앙부처 국비 확보를 위해 노력해 나갈 방침이다. 강성조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산림대전환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해 주민 소득원 상실 문제를 해결하고 동해안 산림관광의 중심지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