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정부 5년간 서울 한강 이북(14개 자치구)과 한강 이남(11개 자치구)의 중형 아파트 평균매매가격 차이가 크게 벌어졌다. 전셋값 격차도 컸다. 전·현 정부의 부동산 규제 방향에 따라 ‘똘똘한 한 채’ 선호현상이 점점 커지면서 고가 주택 밀집지역이 많은 한강 이남 집값은 크게 뛴 것이다. 반면 정부 대출규제와 금리 인상에 따라 15억원에 못 미치는 한강 이북의 중저가 아파트 상승 폭은 제한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8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의 주택가격동향을 살펴본 결과, 지난달에 서울 중형 아파트(전용면적 85㎡ 초과~102㎡ 이하) 평균매매가격은 한강이북 11억9893만원, 한강이남 18억9970만원으로 집계됐다. 한강을 사이에 두고 평균 매매가격 격차가 7억원까지 벌어진 것이다. 전 정부가 출범했던 2017년 5월까지만 해도 한강 이북과 한강 이남의 중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각각 5억7872만원과 9억391만원으로 가격 차이는 3억2519만원이었다. 5년 사이 격차가 두 배로 늘어난 것이다.
평균 전셋값도 차이를 보였다. 2017년 5월 한강 이북과 한강 이남의 중형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각각 4억744만원, 4억9919만원으로 9175만원 격차였다. 하지만 5년 후인 지난 5월에는 한강 이북 6억3386만원, 한강 이남 9억3233만원으로 집계됐다. 두 곳의 중형 아파트 전셋값은 2억9847만원의 차이를 보였다.
업계에서는 한강 이북과 한강 이남의 아파트 가격 양극화는 더 심화할 것으로 전망한다. 윤석열정부의 규제 완화 혜택이 다주택자보다 1주택자에게 집중되고 있어서다. 이대로라면 강남 3구 등 서울에서도 입지가 좋은 지역의 ‘똘똘한 한 채’ 선호현상이 더 커질 수 있다. 경제만랩 관계자는 “새 정부에서도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가 풀리지 않으면서 다주택자들이 선호도가 떨어지는 주택을 처분하고 역세권, 한강변, 우수학군 등의 입지가 뛰어난 곳으로 몰리고 있다”라며 “앞으로 한강 이북과 한강 이남의 집값 편차는 더 벌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