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가 7일 0시부터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전국적으로 화물 운송이 차질을 빚고 있다. 화물연대는 이날 오전 전국 16개 지역본부별로 총파업 출정식을 열고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갔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든, 노동자의 불법행위든 간에 선거운동을 할 때부터 법에 따라 원칙에 따라 대응하겠다고 천명해 왔다”며 원칙적 대응 기조를 밝혔다.
정부는 총파업 출정식에 조합원 2만2000여명의 40% 수준인 9000여명이 참여한 것으로 추산했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 일몰제 폐지 및 전 차종·전 품목 확대, 운송료 인상, 지입제 폐지 및 화물 운송산업 구조개혁, 노동기본권 확대 및 화물노동자 권리 보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안전운임제는 화물 기사가 낮은 운임 탓에 과로나 과속에 내몰려 사고를 내는 것을 줄이기 위해 2020년 도입된 제도로, 올 연말 종료된다.
전국의 철강, 화학, 조선 등 산업단지와 물류 현장 곳곳에서는 운송에 차질이 빚어지는 등 피해가 발생했다.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하루 철강 물동량 약 4만9000t 가운데 화물연대 파업으로 약 2만t 출하가 지연될 것으로 예상했다. 현대제철 포항공장도 9000t 출하가 중단됐다. 포스코 광양제철소도 하루 물동량의 30%가 파업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여수산단의 한 업체 관계자는 “급한 물류는 이미 운송을 마친 상태여서 2∼3일간은 버틸 수 있지만, 더 길어지면 물류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 최대 무역항인 부산항도 비상이 걸렸다. 평소 시간당 1000대 이상의 컨테이너 차량이 출입하던 부산항 신항의 한 컨테이너 터미널에는 통행 차량이 눈에 띄게 줄었다. 해운업계는 당장 부산항 운영에 차질은 빚어지지 않지만, 더 길어지면 예약된 수출입 화물을 선박에 싣지 못해 선사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인천항과 전남 광양항, 전북 군산항 등에선 화물선이 내려놓은 원자재를 화물차에 싣는 상차 작업이 이뤄지지 않았다. 다만 국토교통부는 아직 전체적으로는 물류피해가 크지 않다는 입장이다.
경찰은 엄정 대응 방침을 재확인했다. 김창룡 경찰청장은 “불법행위자는 최대한 현장 검거를 원칙으로 하고 예상 가능한 상황별 조치 계획을 사전에 마련해 불법 상황을 조기 해소해야 한다”며 철저한 대비를 당부했다. 울산 석유화학단지에선 화물차량 통행을 방해하고 경찰 기동대원을 다치게 한 혐의로 화물연대 조합원 4명이 검거됐다.
포항·부산=안창한 윤일선 기자, 김판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