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은 메타버스 서비스 ‘카카오 유니버스’(사진)를 공개했다. 카카오 유니버스는 이용자의 관심사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오픈링크로 사람들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발전한다.
카카오는 7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메타버스 방향과 콘셉트를 설명했다. 카카오는 메타버스를 핵심 미래 먹거리로 꼽았었다. 카카오 유니버스의 첫 번째 서비스는 ‘오픈링크’다. 카카오는 “카카오톡 오픈채팅을 기반으로 취미, 장소, 인물 등의 공통 관심사를 가진 이용자들이 모여 소통하고 즐기는 서비스”라고 했다. 카카오 서비스는 물론 카카오 공동체에서 운영하는 서비스에도 오픈링크와 연결되는 링크를 제공하고, 해당 서비스의 이용자들이 공통 관심사를 이야기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유명 요리사가 운영하는 카카오 브런치에 방문한 이용자들은 이 브런치에 게재된 오픈링크를 눌러 음식 관련 대화를 나누는 공간으로 갈 수 있다.
카카오는 유니버스 활성화를 위한 카카오톡 프로필의 변화도 예고했다. 올해 하반기 기능 개편을 통해 이용자가 자신만의 캐릭터를 만들어 표현하고, 나만의 펫을 키울 수 있도록 한다. 텍스트 위주였던 카카오 서비스를 이미지와 영상, 가상현실 영역으로 확대해 기존의 여러 서비스를 메타버스 안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청사진도 그렸다.
카카오브레인의 초거대 인공지능(AI) 모델을 바탕으로 ‘상호작용형 AI’ ‘대화형 AI’도 준비 중이다. 상호작용형 AI은 오픈채팅이나 영상통화의 얼굴 움직임을 실시간 추적해 자동으로 3차원(3D) 캐릭터를 생성한다. 대화형 AI는 가상의 인물과 콘텐츠를 기반으로 친구처럼 대화할 수 있는 기술이다.
카카오 계열사인 넵튠은 오픈형 3D 메타버스 플랫폼 ‘컬러버스’ 서비스도 선보일 예정이다. 컬러버스 안에서 이용자들은 동일한 관심사를 갖고 모여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다. 오픈 API 등을 활용해 아이템·아바타·공간 등 컬러버스 내 아이템을 직접 제작하고 판매할 수 있도록 한다. 남궁훈 대표는 “카카오는 하나의 서비스나 플랫폼이 아니라 관심사를 중심으로 이용자들이 서로 연결되고 의미 있는 관계를 만들도록 지원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