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대 국립발레단 간판스타였지만 2018년 갑작스러운 퇴단과 함께 미국 이민을 떠났던 이동훈(34)이 4년 만에 한국 무대에 선다. 대한민국 발레축제 개막작인 M발레단 ‘안중근, 천국에서의 춤’(9~10일 예술의전당 토월극장)에서 안중근 역으로 출연하는 것. 서울 마포구 M발레단 연습실에서 리허설에 한창인 이동훈을 최근 마포아트센터에서 만났다.
“2018년 6월 국립발레단의 갈라 공연을 끝으로 퇴단하고 11월 이민을 갔어요. 발레를 완전히 그만둘 생각으로 떠났는데, 지난 4년간 몸과 마음이 건강해지면서 발레로 돌아왔습니다.”
비보이를 꿈꾸던 이동훈은 중학교 3학년 때 학교 선생님의 권유로 발레를 시작해 곧바로 두각을 드러냈다. 2008년 9월 대학 졸업을 앞두고 국립발레단에 특채로 입단한 가는 그해 12월 ‘호두까기 인형’의 주인공으로 성공적인 신고식을 치렀다. 국립발레단에서 주연을 도맡으며 스타로 주목받던 그는 왜 발레를 그만두려 했을까.
“2016년 5월 ‘돈키호테’ 개막 전날 왼쪽 무릎 십자인대가 파열됐어요. 부상 회복 후에도 트라우마 탓에 점프할 때마다 불안했습니다. 인생이 지루하게 느껴져 뭔가 새로운 것을 하고 싶은 욕망도 컸습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자리 잡은 이동훈은 다양한 아르바이트를 하며 미래를 고민했다. 그의 아내는 사실상 가장 역할을 하면서도 “오빠는 발레에 대해 이야기할 때 가장 행복해 보인다”며 그에게 발레 클래스를 쉬지 말라고 조언했다. 아내의 조언대로 연습을 이어간 이동훈은 프리랜서 발레리노로 무대에 서기 시작했다. 한국에서 그를 괴롭히던 부상 트라우마도 어느새 사라졌다. 2019년 샌프란시스코 디아블로 발레단의 게스트 주역 무용수로 1년간 활동하며 자신감을 되찾은 그는 미국 내 주요 발레단 오디션을 준비했다. 아쉽게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오디션들이 중단되자 아이들을 가르치며 기회를 기다렸다.
미국 발레단이 지난해 말부터 활동을 재개함에 따라 그는 지난 2월 털사 발레단 오디션에 합격해 7월부터 퍼스트 솔리스트로 활동할 예정이다. 미국 중부 오클라호마주에 있는 털사 발레단은 규모와 레퍼토리 면에서 미국 내 상위권의 발레단으로 유니버설 발레단 수석무용수 이현준 손유희가 주역으로 활동한 인연이 있다.
“미국에 있는 동안 부상 트라우마가 사라진 것과 낮은 자존감이 높아진 게 제가 발레를 다시 할 수 있었던 요인이에요. 한국에선 발레리노로선 신체조건이 좋지 않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는데, 발레 무용수의 피지컬이 획일적일 필요가 없다는 걸 뒤늦게 깨달았습니다. 이제는 오래오래 무대에서 춤추고 싶어졌어요.”
이번 한국 무대는 공교롭게도 털사 발레단 입단을 앞두고 그가 가족과 함께 몇 달간 한국에서 체류할 계획을 세웠을 때 제안받아 성사됐다. 이동훈은 “제안을 처음 받았을 때는 생각도 못 했던 무대라 거절했지만, 발레리노로 돌아온 모습을 한국 관객에게도 보이고 싶어 마음을 바꿨다”며 “이번 공연을 계기로 한국 무대에도 종종 서고 싶다. 발레를 다시 시작한 만큼 잊힌 무용수가 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