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적극적인 참여 전략 수립하길

입력 2022-06-07 04:03
드미트로 세닉 우크라이나 외교차관이 한국에 왔다. 오늘 이도훈 외교부 2차관과 만난다. 러시아와 전쟁이 끝나면 대대적으로 이뤄질 전후 재건 문제를 협의하러 온 것이다. 넉 달째 계속되는 전쟁에 우크라이나 영토는 파괴됐다. 일부 도시는 초토화됐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다보스포럼에서 전후 재건에 632조원 이상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직 전투가 벌어지고 있지만 국제사회의 재건 논의는 이미 시작됐다. 유럽연합은 압류한 러시아 자산을 투입하는 방안 등이 담긴 우크라이나 재건계획 초안을 마련했다. 미국은 2차 대전 후 서유럽 재건을 지원했던 마셜플랜 수준의 복구 사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서방 국가들은 올여름 스위스에서 회의를 열어 구체적 방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재건 협력을 기대하는 나라들을 찾아다니며 사전 협의를 하고 있다. 외교차관의 방한은 한국을 주요 협력 대상국으로 꼽았다는 뜻이다.

우크라이나 전후 복구는 최소 10년 이상 걸릴 거라고 한다. 세계가 주목하는 가운데 진행될 이 국가 재건 사업은 우리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명분과 실리를 모두 갖추고 있다.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해 최전선에서 싸운 나라를 돕는 일이고, 국제사회 선진국 대열에서 그 역할을 감당해 한국의 소프트파워를 키우는 일이며, 천문학적 자금이 투입될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우리 기업들이 새로운 기회와 경제적 성과를 확보하게 되는 일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젤렌스키 대통령과 직접 통화해 지지의 뜻을 전했고,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지금 키이우에서 피해 상황을 둘러보며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이런 교류를 토대로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에 대한 정부의 분명한 방침과 대응 전략을 조기에 수립하고 면밀히 준비해야 할 것이다. 국제적 현안에 체면치레 정도로 만족하던 과거의 소극적 대응을 답습하지 않기 바란다. 그럴 사안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