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북한에 공개적으로 핵실험 경고 메시지를 발신한 지 한 달이 다 돼가고 있으나 북한은 잠잠하다.
북한이 핵실험장 복구까지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7차 핵실험을 감행하지 않는 것과 관련해 북한이 미국과 중국을 상대로 외교전을 펼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미 국무부는 지난 5월 6일 브리핑에서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을 정비 중이며 이르면 5월 중 7차 핵실험을 할 준비가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브리핑이 나온 이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방한 기간(5월 20~22일)과 미국의 현충일인 ‘메모리얼데이’(5월 30일) 등이 북한의 디데이로 거론됐지만 북한은 레드라인을 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내부 사정이 좋지 않은 중국이 북한에 핵실험 제지 메시지를 보냈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오는 11월 당대회를 통해 집권 연장을 꾀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외부 돌발변수를 차단하기 위해 북한에 자제를 당부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북한이 중국의 경제적 지원에 의존해야 하는 형편이란 점도 이런 분석에 힘을 싣는 요인이다.
북한은 1~3차 핵실험 때는 중국 러시아 등에 미리 알렸지만 4~6차 핵실험 때는 사전 통보 없이 강행했다.
그러나 현재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미·일’ 대 ‘북·중·러’라는 신냉전 구도가 형성되고 있는 상황이라 북한이 이번에는 중·러의 입장을 의식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설명이 뒤따른다.
미국과 고도의 심리전을 벌이고 있는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연일 이어지는 미국의 핵실험 경고 메시지에 대해 북한이 침묵으로 응수하면서 일종의 신경전을 펼치고 있다는 해석이다.
북한 내 코로나 상황도 변수로 거론된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5일 “코로나가 수습되는 시점과 연계돼 핵실험이 감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북한이 특정 시점을 겨냥할 것이란 전망 자체가 무의미하다는 주장도 있다. ‘도발의 일상화’라는 흐름에서 북한이 핵실험도 정치적 타이밍에 대한 고려 없이 아무 때나 감행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신용일 기자 mrmonst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