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전지 ‘몰빵’… 여야 지도부 동선에 선거전략 보인다

입력 2022-05-31 00:04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6·1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혈투를 벌이고 있다. 양당의 선거전략은 지도부의 유세 동선에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국민일보는 이번 지방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지난 19일부터 29일까지 양당 지도부의 공식 유세일정을 전수 분석했다.

민주당의 경우 이재명 총괄선대위원장과 윤호중·박지현 공동상임선대위원장, 박홍근 공동선대위원장 4명의 동선을, 국민의힘에서는 이준석 상임선대위원장과 권성동·김기현 공동선대위원장 3명의 동선을 각각 추적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전체 유세 일정의 77%를 서울·경기·인천에 쏟아부었다. 사실상 수도권에 ‘올인’한 것이다.


국민의힘 지도부도 전체 유세 일정의 44%를 서울·경기·인천에 투입했다. 민주당보다는 수도권 집중도가 떨어지지만, 그래도 유세 일정의 절반가량은 수도권을 누비고 다닌 것이다.

양당이 수도권에 사활을 건 것은 김동연 민주당 후보와 김은혜 국민의힘 후보가 초박빙 승부를 펼치고 있는 경기지사 선거의 영향이 크다.

특히 민주당의 수도권 편중 현상이 더 심한 것은 인천 계양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출마한 이재명 총괄선대위원장의 발이 지역구에 묶인 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 후보는 지난 22~23일 충북·세종·대전·울산·경남·부산을 돌며 전국 유세를 펼치기도 했지만, 인천 계양을 보궐선거에서 윤형선 국민의힘 후보와의 지지율 격차가 줄어든 이후로는 인천 유세에 전념했다.

국민의힘이 수도권 비중을 줄일 수 있었던 것은 여론조사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상황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은 수도권에 매몰되지 않고, 강원·충남 등 격전지를 챙길 여유가 있었던 것이다.

민주당 선대위 핵심 관계자는 30일 “민주당은 ‘수도권 전패’만은 피하기 위해 수도권에 전력을 쏟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서울에서 승리가 확실시되는 국민의힘과는 상황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민주당도 격차는 크지만, 수도권 다음으로 대전·충남 등 충청권과 강원 등 격전지에 공을 들였다. 국민의힘도 강원과 충남을 챙겼다.

양당은 당선 가능성이 확연히 떨어지는 ‘험지’ 유세는 사실상 외면했다. 민주당의 영남 유세 비중은 전체 5%, 국민의힘의 호남 유세 비중은 2%에 각각 불과했다. 민주당 선대위 관계자는 “노력 대비 승산이 높은 지역 위주로 ‘선택과 집중’을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텃밭’ 유세에 대해서는 양당이 서로 다른 태도를 보였다. 민주당 지도부는 전체 유세 일정의 2%만을 호남에 할애했다. 민주당 선대위 관계자는 “이번 선거는 워낙 어려운 승부라 ‘집토끼’까지 챙길 여력이 없었다”고 토로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도부는 전체 유세 일정의 26%를 영남에 배정했다. 민주당과 달리, 지지기반에도 신경을 쓴 것이다. 국민의힘 선대위 관계자는 “대선 때 표를 많이 준 지역을 돌며 지지층의 결속을 다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주환 김승연 강보현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