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 또 대형 산불… 축구장 200개 면적 태워

입력 2022-05-30 04:04
산불진화 헬기가 산불이 이틀째 이어진 29일 오전 경북 울진군 근남면 일대에서 진화작업을 하고 있다. 산 곳곳에서 연기가 피어오르는 모습이 보인다. 산림청과 경북도는 이날 오전 11시40분쯤 울진 산불 주불을 진화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경북 울진에서 28일 일어난 산불의 주불이 23시간여 만에 잡혔다. 산림청과 경북도는 전날 낮 12시 6분쯤 울진군 근남면 행곡리 한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의 주불을 29일 오전 11시 40분 진화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산불 영향구역은 145㏊에 이른다. 축구장 203개에 해당하는 면적이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보광사 대웅전, 자동차정비소 등 건물 9개 동이 불에 탔다.

산림청은 이번 산불이 행곡리 야산 인근 공사장에서 용접을 하던 중 불씨가 튀면서 발화한 것으로 파악하고 정확한 화재원인을 조사 중이다.

산림청과 경북도, 울진군 등은 남은 불 정리와 뒷불 감시에 주력하고 있다. 산불 헬기 및 진화헬기 10대와 특수진화대, 소방, 군 병력, 지자체 등 모든 가용 인력을 총동원했다. 경북도 등은 산불 피해지 복구를 위해 관계 전문가, 지역 주민, 산림 소유자, 이해 관계자들의 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이번 산불은 지난 3월 10일간 1만6301ha를 태운 울진·삼척 산불처럼 계속된 가뭄과 순간최대풍속 초속 13m에 이르는 강풍으로 급속히 확대됐다. 또 불이 붙으면 잘 꺼지지 않는 소나무도 한 원인으로 꼽힌다. 소나무는 송진이 기름 역할을 해 진화가 어렵고 잎이 두꺼운 활엽수에 비해 산불에 취약하다.

이처럼 봄철 대형급 산불이 이어지면서 울진군민은 불안에 떨고 있다. 전날 밤사이 산불이 확산하면서 근남면 행곡1리, 읍남1리, 읍남4리, 수산리 등 4개 마을 44명의 주민이 마을회관 등으로 대피했다.

주민들은 “밤새 뜬 눈으로 지새며 별별 생각이 들었다”면서 “지난 3월 겪었던 산불 생각에 불안하고 언제 또 불이 날지 몰라 무섭다”고 말했다.

이번 산불은 산림청이 산불통계를 데이터화한 이래 1986년 이후 5월에 발생한 대형산불 4건 중 가장 늦은 시기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해서 산불 역량을 강화해나가고 산불 인력과 장비를 대폭 확충하는 데 노력하겠다”며 “앞으로 산림을 복구할 때는 과학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울진=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