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계획 봇물 터진 재계

입력 2022-05-27 04:04

새 정부 출범 이후 주요 그룹의 대규모 투자계획 발표가 봇물 터지듯 이어진다. 미래 성장동력 선점, 기술·인재 확보라는 밑그림이 공통분모다.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인공지능(AI), 에너지, 유·무선 통신 같은 4차 산업혁명 핵심분야에서 ‘빅 스텝’(큰 발걸음)을 꾀한다.

SK그룹은 반도체·배터리·바이오 등에 5년간 247조원을 투자한다고 26일 밝혔다. 이 가운데 179조원을 한국에 투자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대 중소기업 상생에도 기여할 방침이다. 핵심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2026년까지 국내에서 5만명을 채용한다.

같은 날 LG그룹은 국내에 5년간 106조원을 쏟아붓는 투자계획을 내놓았다. 연구·개발(R&D)에만 48조원을 투입한다. 미래 산업경쟁력을 키우겠다는 의도다. 배터리, 자동차 전장, 차세대 디스플레이, AI, 바이오 등에 43조원을 집중한다. 1년에 1만명씩 2026년까지 5만명을 신규로 뽑는다.

포스코그룹도 2026년까지 53조원을 투자하고, 약 2만5000명을 고용하는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전체 투자금액 중 33조원을 국내에 집중한다. 국내 투자 대상은 친환경 철강생산 기반 마련(20조원), 2차전지 소재 및 수소(5조3000억원) 등이다.

GS그룹은 5년간 2만2000명을 고용하고 21조원을 쏟는다. 소형모듈형원자로(SMR), 수소, 신재생 발전 등의 에너지 부문에 가장 많은 14조원을 배정한다. 전체 투자액의 48%(10조원)를 신사업·벤처에 투입한다. 현대중공업그룹도 친환경·디지털을 축으로 5년간 21조원을 투자한다. 5년간 채용 인력은 R&D 인력 5000여명을 포함해 총 1만명이다. 신세계그룹은 온·오프라인에 걸쳐 ‘신세계 유니버스’를 구축하기 위해 5년간 20조원을 쓴다. 오프라인 유통 사업 확대에 11조원을 투자한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