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EF 호재’ K-건설, 동남아 인프라 수주 날개다나

입력 2022-05-27 04:07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출범을 계기로 국내 건설사의 해외 인프라 사업 수주가 다시 활기를 띨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 미국이 제시한 의제에 참여국 간 인프라 협력이 포함된 데다 기후변화에 따른 인프라 개선 수요가 있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IPEF 초기 참여국으로 대거 합류했기 때문이다.

26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이르면 다음 달부터 IPEF 참여국 간 협상이 본격 시작될 것으로 보고 IPEF 예상 의제와 관련한 관계부처 간 협의를 하고 있다. 공급망만큼 주목받지는 못했지만, 건설업계에서는 인프라·청정에너지·탈탄소 의제에 주목한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대경연)은 최근 IPEF 관련 보고서에서 “인프라 분야는 IPEF 참여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들이 가장 큰 관심을 두고 있는 의제”라고 분석했다. IPEF 참여 13개국 중 7개국(베트남·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필리핀·싱가포르·태국·브루나이)이 아세안 국가다.


중국 영향력이 강한 아세안이 미국 주도 IPEF에 참여한 배경에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인프라 투자에 대한 기대가 깔려 있다. 대경연은 “미국 혼자 투자하기보다는 IPEF 참여 선진국의 공동 투자를 제안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정부 관계자도 “아세안 국가의 탈탄소 전환과 함께 기후 변화에 대한 적응 차원에서 필요한 둑이나 댐 건설 등의 인프라 투자도 IPEF 협상 과정에서 논의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난해 10월 기후변화 연구단체인 ‘기후중심(Climate Central)’은 중국과 인도, 베트남, 인도네시아를 향후 해수면 상승에 따라 가장 큰 피해를 볼 수 있는 나라로 꼽았다. 중국 외 나머지 국가는 모두 IPEF에 참여했다.

해외 인프라 건설은 한국 건설사가 강점을 지닌 분야로 꼽힌다. 지난해 말 동부건설과 금호건설이 라오스 메콩강변 종합관리사업과 캄보디아 홍수 피해 저감사업 시공권을 수주한 바 있다. 다만 중국이 이미 2013년부터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 일환으로 아세안 지역 인프라 투자에 공을 들여온 만큼 중국 변수가 만만치 않을 것이란 우려도 있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