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여성 장관 지명 환영하나 검증 소홀해선 안 돼

입력 2022-05-27 04:07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공석 상태인 교육부·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에 여성을 지명했다. 각각 박순애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 김승희 전 의원이다. 윤석열정부 초대 내각이 남성에 편중됐다는 지적을 받아왔던 만큼 여성 전문가를 발탁한 이번 인사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윤 대통령은 이번 인선 과정에서 여성 우선 발탁 방침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윤 대통령이 고수해온 인사 원칙이 상당 부분 바뀌었음을 시사한다.

윤 대통령은 그동안 새 내각을 꾸리면서 ‘능력 우선주의’를 내세웠다. 인위적인 여성 할당이나 안배를 하지 않겠다고 공언했다. 능력 중심의 인선 기조가 잘못이라고 하긴 어렵지만 그 결과 16개 부처 가운데 여성 장관은 김현숙 여성가족부·이영 중소벤처기업부·한화진 환경부 장관 등 3명(19%)에 그쳤다. 차관 및 차관급 인사는 더 심각하다. 41명 가운데 여성은 이날 발표된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을 포함해 3명뿐이다. 미국과 캐나다 등이 내각의 성비를 남녀 동수에 맞추려고 노력하는 것을 감안하면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지난 21일 한·미 정상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미국 워싱턴포스트 기자가 한국의 남성 편중 내각 관련 질문을 던진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윤 대통령은 최근 21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단과의 만찬 자리에서 “공직 인사에서 여성에게 과감한 기회를 부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여성 첫 국회 부의장인 김상희 의원이 젠더 갈등에 대한 유감을 표한 데 대한 반응이다. 여성 후보자들의 평점이 낮은 이유가 “여성이어서 평가를 제대로 받지 못한 게 누적이 돼서 그럴 것”이라고 직언한 참모의 말도 받아들였다. 윤 대통령은 “그때 정신이 번쩍 들었다”고 말했다. 교육·복지부 장관 후보자로 여성이 발탁된 것은 환영하지만 관련 업무능력과 전문성, 국민이 기대하는 눈높이에도 맞아야 함은 물론이다. 철저한 검증도 이뤄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