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자녀 의대 편입학 의혹 등의 논란 끝에 지명 43일 만에 자진사퇴했다. 국회 인사청문회 이후 3주째 이어져 온 복지부 장관 공석 사태가 길어지게 됐다. 후임 장관 후보자 물색과 청문회 등을 고려하면 한동안 복지 행정 공백이 우려된다. 우선 윤석열정부 국정운영 1순위 과제 중 하나인 코로나19 대응 정책 추진에 차질이 빚어질까 걱정이다. 코로나 유행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는 지속적으로 검출되고 있다. 면역 감소·신규 변이 유입 등으로 올여름 재유행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다는 예측까지 나온다. 해외에서 감염 사례가 잇따르는 바이러스성 질환 원숭이두창의 국내 유입도 배제 못하는 상황이다. 세계보건기구가 원숭이두창 확산을 경고한 만큼 우리도 선제적인 대응 체계를 갖춰야 한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지난달 ‘코로나19 비상 대응 100일 로드맵’을 발표했다. 보건·의료 분야 실천과제 34가지를 정권 출범 100일 이내에 추진한다는 내용이다. 복지부가 주도하는 과제가 상당수다. 기존 대응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내용도 있지만, 큰 틀에서 리더십이 필요한 과제도 많다. 부처 간 조율이 필요한 종합 대책 마련이나 돌봄 취약계층 인프라 연계 강화 같은 것이다. 복지부가 24일 긴급회의를 열고 조규홍 복지부 제1차관과 이기일 제2차관 중심으로 관련 업무를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힌 건 이런 이유에서다.
신임 복지부 장관 인선도 서둘러야 한다. 정 후보자는 의혹의 사실 여부와는 별개로 국민 눈높이에 부족한 부분들이 제기돼 낙마했다. 또다시 논란이 되는 후보가 지명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국민 건강과 직결된 복지 행정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최대한 빨리 새로운 후보자를 지명해야 한다. 업무 능력을 갖춤과 동시에 국민의 상식에 맞는 인사여야 할 것이다.
[사설] 복지 공백 없도록 국민 눈높이 맞는 장관 인선 서둘러라
입력 2022-05-25 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