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기아가 전기차 생태계를 고도화하는 데 21조원을 쏟아붓는다. 2030년 한국의 전기차 연간 생산량을 글로벌 생산량의 절반 가량인 144만대까지 확대한다.
현대차 기아는 국내 전기차 생태계를 고도화하고 글로벌 미래 자동차산업 혁신을 선도하는 허브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2030년까지 총 21조원을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올해 35만대로 예상되는 국내 전기차 연간 생산량을 2030년 144만대까지 대폭 늘릴 계획이다. 144만대라는 숫자는 2030년에 예상하는 현대차 기아의 글로벌 전기차 생산량에서 45%를 차지하는 물량이다. 현대차그룹은 2030년 전기차 323만대를 판매해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약 12% 수준의 점유율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우선, 기아는 목적기반차량(PBV) 세계 1위에 도전한다는 ‘플랜 에스(Plan S)’ 전략에 따라 오토랜드 화성에 최대 15만대 생산능력을 갖춘 전용공장을 신설한다. PBV는 운전자 중심으로 설계된 자동차 개념을 넘어서는 신개념 전기차다. 물류, 배송, 이동식 오피스 등의 ‘사용 목적’에 초점을 맞춘다. 약 2만평 부지에 조성하는 PBV 전용공장은 2023년 상반기에 착공한다. 2025년 하반기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2025년에 선보일 최초 모델 ‘SW(프로젝트명)’는 중형급으로 개발된다.
현대차 기아는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 개발, 제품 라인업 확대, 핵심 부품 및 선행기술 개발 등에도 집중적으로 투자를 한다. 2025년 도입하는 승용전기차 전용 ‘eM’ 플랫폼을 비롯해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 Integrated Modular Architecture)’ 체계 아래에서 차급별로 다양한 전용 플랫폼을 순차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를 적용한 플랫폼은 배터리와 모터를 표준화해 제품 개발 속도를 올리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초고속 충전 인프라 같은 충전 솔루션과 고객 서비스 등에도 투자를 강화한다. 현대차 기아는 지난해 3월 ‘전기차 초고속 충전 브랜드 ‘이피트(E-pit)’를 출범했고, 올해 4월에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E-CSP)을 내놓았다. 롯데그룹, KB자산운용 등과 전기차 초고속 충전 인프라 확충을 위한 특수목적법인(SPC)도 설립했다. 최대 200㎾급 충전기를 임대하는 사업 모델을 개발해 2025년까지 전국 주요 도심에 초고속 충전기 5000기를 설치할 예정이다.
여기에다 수명을 다한 폐배터리를 에너지 저장장치로 활용하는 사업에도 박차를 가한다. 국내외 파트너들과 ‘UBESS(Used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등에서 함께 사업 모델을 찾는다. 내연기관 부품회사를 대상으로 신규 품목 육성, 신사업 입찰 기회 지원, 사업 전환 세미나 및 기술 컨설팅, 전동화 부품 전시회 등을 통해 미래차 분야에서의 매출 확대와 사업 다각화도 지원한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