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취임식 다음 날인 5월 11일, 장제원(사진) 국민의힘 의원에게 전화를 걸었다. 그러나 받지 않았다. 몇 시간 뒤 그는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잠수 시작. 답신을 못해도 양해 바랍니다.’
장 의원은 인수위 과정에서 당선인 비서실장을 맡았다. 스포트라이트를 독차지했던 만큼 중압감도 컸던 것 같다. 그는 “대통령 취임식만 마치면 잠수에 들어갈 것”이라고 입버릇처럼 말했다고 한다. 5월 10일 취임식이 끝나자마자 장 의원은 지역구가 있는 부산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다짐을 행동으로 옮긴 것이다. 개국공신의 ‘몸조심’이라는 얘기가 돌았다.
그랬던 그가 다시 등장했다.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이 별세하자 윤 대통령이 장 의원을 대통령 특사로 UAE에 15일 파견한 것이다. 그의 잠수는 일단 중단됐다.
장 의원은 UAE로 떠나기 전,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대통령실이 밝혔듯이 윤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가는 것”이라며 “6·1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어 왕복 비행기에서 2박을 하는, 무박 3일 일정으로 조문을 가게 됐다”고 말했다.
장 의원은 이어 “윤석열정부가 공식 출범하면서 당선인 비서실장의 역할은 끝났다”며 “불필요한 접촉을 피하고, 과도한 관심에서 벗어나기 위해 ‘잠수’라는 표현을 쓴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당선인 비서실장을 지낸 사람이 어떤 정치적 메시지를 내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장 의원은 “다만 잠수라는 것이 정치인으로서의 기본적인 역할마저 하지 않겠다는 뜻은 아니었다”면서 “국민의힘은 지방선거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 내 지역구(부산 사상)에서도 반드시 이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의원은 “이제는 윤석열정부의 성공을 위해 묵묵히 밑에서 받치고, 지원하고, 힘을 실어주는 것이 내 역할”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윤석열정부에서 어떤 자리나, 어떤 역할을 해야겠다는 생각은 전혀 없다”면서 “솔직히 당선인 비서실장만으로도 충분히 행복했다”고 설명했다. 또 “윤석열정부 5년의 밑그림을 그리는 기회를 가졌던 것은 막중한 부담감이 있었지만, 정치인으로서 소중한 경험이었고 영광이었다”고 말했다.
장 의원은 당선인 비서실장으로 일하면서 마음고생도 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장 의원이 인선 내용을 알려주지 않아 동료 의원들로부터도 원성을 많이 샀다”면서 “특히 몇몇 의원이 집요하게 인선 내용을 묻자 장 의원이 ‘그렇게 궁금하면 당선인에게 직접 물어보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 얘기가 돌면서 불만과 서운함이 극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한 선배 의원은 “인선 내용이 궁금해 전화를 했더니, 장 의원이 ‘형님, 당선인이 저에게 정치를 하면서 쌓았던 여의도 인연이 끊어질 각오를 하고, 이를 악물고 인사를 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저를 좀 이해해 주십시오’라고 하소연하더라. 그제야 이해가 갔다”고 전했다.
장 의원이 “묵묵히 밑에서 받치겠다”고 강조했지만, 윤 대통령의 메신저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윤석열정부에서 친윤(친윤석열) 의원들과 검찰 출신 인사들 간 화학적 결합에는 의문부호가 붙는다. 이들의 가교 역할을 할 가장 적합한 인사로 장 의원이 거론된다. 다만 한 보수 원로 인사는 그에 대해 “힘이 쏠리면 견제가 집중되는 것이 권력의 생리”라고 지적했다.
하윤해 정치부장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