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성폭력 사건으로 제명한 박완주 의원을 조만간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 제소하기로 했다. 6·1 지방선거가 보름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성폭력 사건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서둘러 후속 조치를 단행한 것이다.
다만 앞서 윤리특위에 회부된 무소속 윤미향 의원과 박덕흠 국민의힘 의원에 대한 징계 절차가 더디게 진행되는 상황을 보면 실효성이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당 원내 관계자는 15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절차대로 이번 주 중 국회 윤리특위에 (박 의원을) 제소할 예정”이라며 “징계 심의 과정에서 피해자의 개인 정보와 인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검토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16일 의원총회에서 박 의원 제명안을 확정하고, 의원직 제명 여부도 논의할 계획이다. 민주당의 이런 속전속결식 조치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또다시 ‘성비위 정당’이라는 오명에 빠지지 않기 위한 몸부림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난 1월 윤리위에 상정된 윤미향·박덕흠 의원에 대한 징계안이 아직 소위원회에서조차 논의되지 않은 것을 고려하면 여전히 미흡한 조치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사실이다.
박 의원은 이날 취재진에게 보낸 문자 메시지에서 “어떠한 희생과 고통이 있더라도 아닌 것은 아니다”라며 “때가 되면 입장을 낼 것이고, 아직은 그때가 아닌 듯하다”며 억울한 심경을 감추지 않았다.
민주당은 성상납 의혹으로 수사를 받고 있는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를 고리로 역공을 시도하고 있다.
박지현 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14일 이 대표 의혹에 대해 ‘사생활’이라는 표현을 쓴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향해 “성상납은 사생활이 아니라 범죄행위”라며 “수준 이하”라고 쏘아붙였다.
이 대표 의혹에 대해 진상조사 절차가 더딘 국민의힘의 모습을 부각하며 차별화를 시도하려는 의도도 있다.
신현영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민주당은 지금 수술 중이지만, 국민의힘은 지금도 숨기는 중”이라며 “우선 이 대표를 징계하고 민주당과 같은 수술을 개시해야 한다. 최소한 그 정도는 해야 민주당을 비판할 자격이 있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은 박 의원의 자진 사퇴와 민주당의 자성을 촉구하며 맹공을 이어갔다.
김기현 공동선대위원장은 통화에서 “민주당 스스로 환골탈태하지 않으면 자멸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민주당이 박 의원 성폭력 논란을 이 대표 의혹과 연계하는 것을 두고서는 “2차 가해 우려로 조심스럽지만, 성상납과 성범죄는 성격이 다른 것”이라며 “자기결정권에 관한 침해의 문제에 대해 ‘물타기’하는 모습을 보이면 진정성을 갉아먹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여성위원장을 맡고 있는 양금희 의원은 통화에서 “박 의원 성추행 사건은 피해자를 면직처리하는 과정에서 2차 가해까지 발생한 권력형 성범죄”라며 “스스로 의원직을 사퇴하거나 국회 윤리위를 통해 의원직을 내놓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박 의원 성폭력 사건과 함께 최강욱 민주당 의원의 성희롱 발언 의혹과 김원이 의원실에서 발생한 보좌관 성폭력 사건 등을 엮어 ‘민주당 심판론’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다만 민주당발 성추문 사태가 국회 전반의 성비위 문제로 확전될 수 있다는 점에는 조심하고 있다. 김형동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여야가 성 관련 문제로 말싸움을 벌이는 것은 국민 보기에 좋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승은 김승연 기자 gugiz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