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추진했던 16일 여야 3당 지도부와의 만찬 회동이 무산된 것은 아쉽다. 이번 회동은 임기 초 윤 대통령과 국회의 원활한 소통, 국내외 각종 난제 해법 마련 등을 위한 첫 단추였다. 더불어민주당에서 석연찮은 이유로 거부했는데 국민 모두가 원하는 협치, 상생을 위해서라도 대통령과 여야는 추후 만남 일정을 속히 잡길 바란다.
16일은 윤 대통령이 취임 이후 처음으로 국회에서 시정연설을 하는 날이다. 코로나19 피해를 본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을 위해 최근 정부가 제출한 36조4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 관련 연설이다. 대통령이 국회를 방문한 뒤 저녁에 여야 3당 지도부와 함께 식사를 하면서 현안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일정상 자연스럽다. 윤 대통령은 만찬 자리에서 추경안의 5월 임시국회 내 조속한 처리,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안 처리 등에 협조를 구할 계획이었다고 한다. 한국 경제 목전에 다가온 퍼펙트스톰(복합위기)을 극복하는 방안, 코로나 위기를 맞은 북한 지원 문제 등 다양한 안건들도 대화의 테이블 위에 오를 수 있었다. 대선 과정에서의 앙금과 적대적 관계를 모처럼 뒤로하고 진정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하는 장이 기대됐는데 결국 기약 없이 연기됐다.
민주당은 시간이 맞지 않은데다 대통령실에서 일방적으로 날짜를 지정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168석의 다수당이 이런 이유로 대통령과의 만찬을 걷어찬 것은 옹졸한 처사다. 윤 대통령은 오는 20~22일 방한하는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과 첫 한·미정상회담을 갖는다. 다음 주로 넘어가면 지방 선거가 보름도 채 남지 않는다. 정의당이 만찬에 흔쾌히 동의한 것도 이런 일정들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한 총리 후보자의 인사청문요청안이 국회에 제출된 지 40일 가까이 됐음에도 인준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 일부 장관 후보자의 낙마를 위해 총리 인준을 볼모로 잡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게다가 대통령의 만남 요청도 거부했다. 내각 인선에서 협치를 보이지 못한 윤 대통령의 행보도 문제지만 국가 현안이 산적해 있음에도 국정 공백과 민생고에 나 몰라라 하는 거대 야당 민주당의 처사는 더욱 실망스럽다. 대통령실은 15일 만찬 회동 무산에 대해 “문이 열려 있고 (야당이) 한시라도 연락을 주면 만날 생각”이라고 밝혔다. 새 정부의 정상 출범과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대통령과 야당은 조건 없이 무릎을 맞대야 한다. 민주당의 협조가 필요한 때다.
[사설] 윤 대통령과 여야 3당 지도부 조속히 만나길 바란다
입력 2022-05-16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