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숙(56)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에서 여가부 폐지 찬성 입장을 다시 확인했다. 야당 의원들은 자신이 이끌게 될 부처 폐지를 찬성하는 후보자는 인사청문을 받을 자격이 없다고 공세를 폈다.
김 후보자는 11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인구, 가족, 아동 문제를 챙기며 우리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립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이 내세운 여가부 폐지 공약을 의식한 듯 향후 과제에 ‘여성’이라는 단어를 따로 포함시키지 않았다.
김 후보자는 여가부 폐지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거듭 찬성 뜻을 재확인했다. 다만 최근 국민의힘이 여가부 폐지를 골자로 발의한 정부조직법 개정안에는 명확한 의견을 내놓지 않았다. 그는 “(몸담았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내에서 정부조직법은 다루지 않았다”며 “(해당 안을) 검토는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여야 의견을 수렴하고 여성단체를 포함한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김 후보자는 윤 대통령이 대선 당시 ‘구조적 성차별이 없다’고 한 발언에 동의하는지 묻는 야당 질문에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즉답을 피했다. 이어 “세계 성격차지수를 보고 말한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청문회는 시작과 함께 야당 측 질타가 이어지면서 오전 내내 파행했다. 야당 의원 9명이 돌아가며 후보자의 사전 자료제출 미비, 여가부 폐지 찬성 답변 등을 집중 비판했다. 후보자에 대한 질의는 전혀 진행되지 못한 채 여야 공방만 이어졌다. 권인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장관을 하겠다는 사람이 폐지에 동의한다는 것 자체가 난센스”라며 “인사청문회에 앉을 자격이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송옥주 여가위원장이 오전 11시10분쯤 자료 제출 전까지 정회를 선언하자 국민의힘 의원들은 여야 간사 간 협의가 없었다는 이유로 강하게 반발했다. 김 후보자는 정회 직후 여당 의원들 쪽으로 가 “(요청 자료를) 다 냈다”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청문회는 오후 2시40분을 넘겨서야 재개됐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