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는 4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유연근무 활성화 등 일하는 문화를 바꿔 나가고 노사가 자율적으로 근로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새 정부가 국정과제에 포함한 근로시간 유연화와 맥을 같이 하는 발언이다.
이 후보자는 청문회 모두발언을 통해 “노동환경과 고용형태가 다양해진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지 못한 경직된 법·제도나 관행으로는 지속가능성이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노사가 협의해 기업의 성장을 이끄는 직무·성과 중심의 임금체계 도입도 지원하겠다”고 공언했다.
청문회에선 노사발전재단 사무총장 재임 시절 비위 의혹과 삼성그룹으로부터 받은 1억원대 자문료 등 도덕성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고용부로부터 (재단 사무총장) 해임 건의를 받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에 참석해 아이러니”라고 비판했다. 같은 당 노웅래 의원은 “삼성그룹 8개사로부터 돈을 받아놓고 서면 답변에는 삼성전자만 취업한 것처럼 속였다”며 “공직자윤리법 위반”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이 후보자는 “부족했다” “송구하다”고 사과했다. 다만 ‘노동계를 상대하려 영입된 삼성장학생’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노사 관계가 아니라 노사 상생 파트너십에 대한 중장기적 방침에 대해 자문했다”며 선을 그었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사무처장을 지낸 이 후보자는 줄곧 최저임금 인상을 주장해왔다. 그는 최저임금 차등적용 가능성을 묻는 말에 “업종별 차등은 최저임금위원회가 결정하면 가능하고 지역별은 현행법상 불가능하다”며 원론적 수준의 답변을 내놨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