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청문회는 원래 야당의 장이다. 정부의 내각 인선 문제점을 전 국민에 적나라하게 폭로하는 등 정치적 공세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늘 야당이 주도권을 갖는 반면 여당은 방어하기에 급급하며 쩔쩔매곤 한다. 현재 진행 중인 윤석열정부 첫 내각에 대한 인사청문회도 마찬가지다. 새 정부 국무총리와 18개 부처 장관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가 시작되면서 각 후보자의 함량 미달 자질은 물론 편법과 치명적인 도덕적 결함 등이 곳곳에서 드러나면서 여야 공방이 한창이다.
이번 청문회 최대 하이라이트는 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될 것이라는 데 이론의 여지가 없다. 장관 후보자 중 유일하게 그의 청문회가 당초 예정된 4일에서 9일로 연기된 것도 이를 방증한다. 한 후보자는 새 정부 내각 인선에서 가장 상징적이고 파격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는 윤석열 당선인의 최측근으로 ‘리틀 윤석열’ ‘소통령’ 등 얘기가 나온다. 예비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잔뜩 벼르면서 반드시 낙마시킬 후보로 꼽은 이유이기도 하다. 한 후보자 청문회 연기도 민주당이 여러 청문회가 동시에 열릴 경우 관심 분산을 차단하려는 의도에서다.
하지만 막상 청문회가 열리면 상황이 어떤 식으로 돌아갈 것인지는 장담할 수 없다. 민주당 입장에서는 얼마나 철저히 준비해 확실한 ‘한방’을 날릴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반면 국민의힘에선 오히려 청문 정국을 되돌려 놓을 수 있는 전기가 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입법에 대한 문제점을 한 후보자의 입을 통해 듣는 자리가 될 수 있는 등 역공의 계기로 삼을 수 있다고 판단한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페이스북에 “민주당이 그만큼 검수완박 국면에서 국민 앞에서 한 후보자와 치열하게 논리적 정면승부를 할 자신이 없기 때문”이라며 “법무부 장관 청문회는 ‘별의 순간’이 될 것”이라고까지 했다. 한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가 어떤 식으로 진행될지 벌써부터 초미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오종석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