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 “철회”… 카이스트 오송캠퍼스 놓고 찬반 여론

입력 2022-05-04 04:05
3일 오전 충북 청주시 오송읍 일원에 카이스트 오송 바이오메디컬캠퍼스 조성을 지지하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홍성헌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청주 오송 바이오메디컬 캠퍼스 조성을 놓고 지역에서 찬반 여론이 엇갈리고 있다. 지역주민들은 찬성, 충북대학교는 반대하는 입장이다.

남기용 오송읍이장단협회장은 3일 “국정과제 선정을 신호탄으로 KAIST 오송 바이오메디컬 캠퍼스를 유치하고 의과학자 양성을 위해 지역에서 한 목소리를 내야한다”고 강조했다. 지역주민들은 오송 일대에 현수막 20여개를 걸고 KAIST 오송 바이오메디컬 캠퍼스 조성에 적극적인 지지와 성원을 호소하고 있다.

남 회장은 “충북대가 지역발전을 위해 상생하는 모습을 보여주길 바란다”며 “충북대 반대 서명 운동에 주민들도 찬성 서명 운동으로 맞불을 놓을 생각”이라고 전했다.

충북대학교 교수들과 충북대병원 전공의협의회는 반대하는 입장이다. 충북대교수회는 충북지역 대학과 협의나 소통 없이 충북도와 청주시, KAIST가 체결한 업무 협약은 무효라는 입장이다.

배득렬 교수회장은 “KAIST 오송 캠퍼스는 이명박 정부의 대운하 사업처럼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며 “미국 같은 선진국도 의대 졸업생 중 의과학을 전공하겠다는 학생이 1%도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충북대의 존립 문제를 갖고 얘기하는 것이 아니다”면서 “새로운 대학의 필요성이 있다면 적어도 충북지역 대학과의 협의와 소통이 전제돼야한다”고 주장했다.

교수회는 대학 전체 교수들을 대상으로 반대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현재까지 교수 700여명 중 400여명이 반대에 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충북대학교병원 전공의협의회도 의학전문대학원(의전원)과 병원 건립을 반대하고 있다.

협의회는 최근 성명서를 통해 “지난 15년간 의전원에서 배출된 의료진 대부분은 임상의로 활동하고 있다”며 “이는 우수한 의과학자를 배출한다는 의전원의 기존 설립 취지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충북에 여러 개의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이 있는데 오송에 또 대규모 병원을 짓는 것은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충북도는 3월 KAIST, 청주시와 KAIST 오송 바이오메디컬 캠퍼스타운 조성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바이오메디컬 분야를 특화한 대학·대학원, 병원, 연구소, 창업시설 등으로 이뤄진 카이스트 오송캠퍼스를 2025년부터 오송 제3생명과학산업단지 내 약 100만㎡에 조성하는 내용이다. 이 사업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회가 발표한 충북 7대 공약 15대 정책과제에 포함됐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