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물가가 크게 오르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3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공공요금도 줄줄이 인상이 예고돼 도민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지역 소비자물가지수는 107.74로 전년 동월대비 5.5% 상승했다.
이는 강원(5.9%) 경북(5.8%) 충남(5.6%)에 이은 전국 네 번째 상승 폭이다. 제주지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를 넘긴 것은 2008년 10월(5.2%) 이후 13년 6개월 만이다.
제주는 신선식품을 제외한 거의 모든 부문에서 물가가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등유(61.2%)와 경유(39.7%) 휘발유(23.4%) 취사용LPG(24.1%) 등 연료 가격의 상승 폭이 가장 컸다.
도민들이 즐겨 먹는 돼지고기(10.0%)와 수입 쇠고기(17.8%), 된장찌개(10.5%)를 비롯해 생선회(16.5%)와 커피(16.0%) 가격도 크게 올랐다. 외식 가격은 한번 오르면 내리지 않는데다 원자재·곡물 공급난 등으로 추가 상승마저 우려된다. 주차료(442.3%) 간병도우미료(15.8%)와 세탁료(16.2%) 보험서비스료(10.3%) 등 개인서비스 요금도 크게 올랐다.
공공요금 인상도 줄줄이 예고됐다. 제주도는 버스요금 현실화 방안을 찾는다는 방침이다. 한해 1400억원 가까이 투입되는 버스준공영제 운영의 지방비 적자 폭을 줄이기 위해서다. 택시요금 인상도 검토 중이다. 7월부터는 음식물류폐기물 수수료도 일제히 오른다.
2023년과 2025년에는 상·하수도 요금도 각각 5%와 20%씩 인상된다. 도는 지난 1월에도 상·하수도 요금을 각각 5%와 20% 인상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