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소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기존의 NCM(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배터리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자 경북도가 이를 대체할 고안전·보급형(LFP) 배터리 상용화를 위한 기반 조성에 전국 처음으로 나섰다.
경북도는 산업통상자원부의 ‘2023년 지역산업 거점기관 지원 신규사업, 스마트 특성화 기반 구축 공모’에 경북도의 ‘고안전 보급형 배터리 상용화 기반 구축’ 과제가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내년부터 3년간 총 사업비 100억원(국비 50억, 지방비 50억원)을 투입해 포항 2차전지종합관리센터(경북TP)에 고안전·보급형 배터리 상용화를 위한 신뢰성·안전성 시험평가 기반을 구축하고 품질 개선과 시제품 제작 기술 지원에 나선다.
지금까지 전기차 배터리로는 양극소재로 니켈, 코발트, 망간을 사용한 NCM 배터리가 주로 사용돼 왔다. LFP 배터리는 비교적 가격이 낮은 인산과 철을 사용해 NCM 배터리보다 가격 경쟁력과 안전성에 강점을 보인다. 그러나 짧은 주행거리와 낮은 에너지 밀도로 국내외 전기차 배터리로는 큰 관심을 끌지 못해 CATL, BYD 등 중국 제조사 중심으로 개발·공급돼 왔다.
테슬라, 벤츠 등 글로벌 전기차 생산업체도 보급형 전기차 라인업에 LFP 배터리를 탑재하기로 선언했으며 SK온, LG엔솔 등 국내 대형 배터리 제조사도 LFP 배터리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LFP 배터리의 기술 개발 및 시험·분석·평가 등에 특화된 기반시설은 전무한 상태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LFP 상용화 기반 구축’ 사업으로 국내 LFP 배터리 저변을 확대하고 배터리 시장을 선도한다는 방침이다.
도는 LFP 배터리 기술 상용화와 신뢰성 평가장비 구축으로 부품·반제품 양산화를 위한 시제품 제작과 설계 해석을 지원하고, 지역 대학과 협력해 LFP 배터리 전문 인력 양성에도 힘을 쏟을 계획이다.장상길 경북도 과학산업국장은 “LFP 배터리 시장 선도를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