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코로나19라는 바이러스가 이전에 없던 새로운 유형의 정신건강 문제를 낳았다고 진단한다. 국가적 재난 상황 속에 많은 국민의 정신건강에 우울감이 퍼졌지만 국가 차원의 연구와 복지 체계는 미흡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민일보가 인터뷰한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우울증을 세 가지로 분류했다. 지금까지 알려진 건 사회적 불안 탓에 우울해진 경우, 경제 침체기가 장기화되면서 현실적인 문제로 우울해진 경우였다. 최근에는 코로나19 후유증으로 인한 우울증이 추가됐다. 김현수 서울시 코로나19 심리지원단 단장은 2일 “코로나 후유증의 일환으로 우울증을 겪는 많은 사례가 보고됐지만 아직 어떤 경로로 발현됐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다”고 말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와 함께 일상회복이 시작된 지금부터가 더 큰 문제라는 지적은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의견이다. 박종익 강원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일상회복이 시작됐지만 아직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 이들이 많다”며 “코로나 상황에서 전통적인 관계 맺음이 붕괴했다. 이 과정에서 ‘고(高)불안사회’가 촉발되면서 후유증으로 우울증을 얻은 환자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해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지금이라도 ‘정신건강이 힘들면 어떻게 도움을 받을 수 있다’라는 식의 안내가 쉽고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다음 감염병이 나타날 때 정신건강 문제를 줄일 수 있다”고 했다.
특히 코로나19 여파로 경제·사회적 격차가 벌어진 상황에서 모두가 동시에 일상회복을 강요받는 것 자체가 정신문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박종석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격리라는 동일한 환경이 주어지자 부익부 빈익빈 현상으로 인한 박탈감도 심화됐다”며 “감염병이 끝나도 내면의 상처까지 곧장 아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로 인한 우울증이 발현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꾸준한 연구와 지원을 촉구했다. 박 교수는 “일상회복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그 뒤편의 정신건강 문제에는 사회적 관심이 줄어들 수 있다”며 “국가적 차원에서 코로나 후유증 및 우울증에 관한 연구와 지원을 지속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