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철(사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본인 및 가족을 둘러싸고 온갖 의혹들이 쏟아지지만 해명은 석연치 않다. 김 후보자 측은 국회 인사청문회까지 버티며 일부 의혹에 선택적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납득할 만한 객관적 근거가 빠진 ‘맹탕’ 해명에 그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부 인사청문회준비단은 27일 ‘김 후보자 가족 풀브라이트 장학생 선발 해명’ 자료를 냈다. 준비단 해명은 “동문회장이 장학생 선발에 관여하는 건 원천적 불가”로 요약된다. 풀브라이트 장학금은 치열한 경쟁과 까다로운 심사로 정평이 나 있지만 김 후보자 가족은 모두 장학금 수혜를 입었다.
김 후보자가 풀브라이트 동문회장 시절에 딸이 장학금을 수령한 데 이어 최근에는 아들의 장학금 수령 사실도 확인돼 ‘아빠 찬스’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장학금 선정 과정에 동문회 출신이 참여해 왔고, 김 후보자 자녀란 점이 미리 알려져 있었다는 정황도 드러났다. 동문회가 장학금 수혜자를 선정하는 한미교육위원단 운영을 지원한 사실까지 드러나 “동문회장이었을 뿐”이란 후보자 해명은 옹색하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후보자 해명이 권위적이고 고압적이란 비판도 있다. 이날 해명 자료의 “미국 정부의 공신력 있는 국제 교육·교류 사업에 대한 근거 없는 의혹 부풀리기” “160여 국가서 운영 중인 장학 프로그램의 공정성 신뢰 훼손”이란 대목이 대표적이다. 미국 정부가 개입해 여러 나라에서 문제 없이 운영되고 있으니 ‘문제 삼지 말라’는 일종의 ‘권위’에 기댄 해명이다. 김 후보자 자녀의 대학 학점, 영어 성적 등 객관적 성적을 공개해 이를 다른 합격자들의 성적과 비교하는 등의 ‘정공법’을 피하는 상황에서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비판도 나온다.
김 후보자가 한국외대 총장 때 기업 사외이사를 겸직하며 ‘셀프 허가’했다는 의혹은 거짓 해명 논란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김 후보자는 “이사장 승인을 받았다”고 주장했지만 사외이사 임기가 시작된 이후 학교 법인 이사회에 허가 요청 공문을 보낸 사실이 드러났다. 총장 재임 때 고위공직자 등 이른바 ‘금수저 집안’ 조사를 벌였다는 의혹에는 “담당 부총장이 총장에게 보고하지 않고 벌인 일”이라고 해명했으나 ‘꼬리 자르기’란 또 다른 의혹을 낳았다. 그 밖에도 군 복무 중 대학 재학, 성희롱 의혹 교수 탄원서 참여, 딸의 강남 8학군 진학을 위한 ‘위장 출생신고’ 의혹 등에도 해명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김 후보자와 준비단은 “청문회 기회가 주어지면 해명 가능한 사안”이란 입장을 반복하고 있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