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유출될라…’ 삼성·하이닉스 핵심공정은 모두 한국에

입력 2022-04-22 04:04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국민일보 DB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생산라인은 대부분 한국에 있다. 특히 첨단 공정이 필요한 반도체는 모두 한국 공장에서만 만든다. 혹시 모를 기술 유출 우려 등을 불식하기 위해서다.

삼성전자의 반도체 제조시설은 한국 중국 미국 등에 포진해 있다. 이 가운데 중국 시안과 쑤저우 공장은 상대적으로 기술적 난도가 낮은 낸드플래시를 생산한다. 미국 오스틴 공장은 14나노 이상의 반도체를 만드는 위탁생산(파운드리) 공장이다. 7나노 이하 초미세공정, 극자외선(EUV) 공정 등은 한국의 기흥, 화성, 평택캠퍼스 등에만 도입했다.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시장 공략을 강화하기 위해 미국 테일러시에 170억 달러 규모의 신규 파운드리 공장을 짓기로 했다. 이 공장에는 5나노 이하의 초미세공정을 적용할 가능성이 있다.

SK하이닉스는 한국과 중국에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 우시에서 D램을 생산하고 있지만 EUV공정을 적용한 D램은 이천 공장에서만 만든다. 청주는 낸드플래시를 중심으로 생산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현재로선 메모리반도체 생산시설을 해외로 확장할 계획이 없다. 특히 반도체가 안보자산으로 떠오르면서 해외 생산기지 확충 같은 사안을 기업 혼자 결정하기엔 위험 부담이 너무 커졌다. 단적인 예로 미국은 중국에 첨단 반도체 장비를 판매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SK하이닉스가 중국 우시 공장에 EUV공정을 도입할 수 없다는 의미다.

올해 1월 국회를 통과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별법(반도체특별법)’에 따르면 반도체 등 전략기술을 수출하거나 기업을 인수·합병(M&A)하는 경우 정부 승인을 받아야 한다. 반도체산업은 대규모 투자를 통한 ‘규모의 경제’ 실현이 중요하기 때문에 섬세한 전략이 필요하다. 여기에 지정학적 변수까지 더해지면서 셈법이 한층 복잡해진 것이다. 그래서 자국 내 생산시설 확보가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선행 기술은 무조건 국내에서 먼저 생산한다는 건 앞으로도 변화가 없을 것이다. 해외에 공장을 짓는 게 쉽지 않은데 국내에서마저 제때 공장을 지을 수 없다면 어려움은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