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풀린 돈의 역습… 물가도 집값도 3년 연속 高高?

입력 2022-04-21 04:05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푼 돈의 역습이 본격화하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0여년 만에 4%대로 치솟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부동산 시장도 새 정부가 규제를 완화할 것이란 기대감에 들썩이고 있다. 물가와 집값의 동반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내 집 마련을 하지 못한 서민들의 시름이 더 깊어지는 모습이다.

국민일보가 20일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주택 가격 상승 추이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 팬데믹 시기인 2020년과 2021년 모두 물가와 집값이 동반 상승했다. 물가와 집값은 2020년 각각 0.5%, 5.4% 올랐고 지난해에도 각각 2.5%, 9.9% 상승률을 기록했다.

여러 기관 전망에 따르면 올해도 물가와 집값이 동반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올해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0%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토연구원은 올해 수도권 집값이 5.1%, 지방 집값이 3.5%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주택 가격은 지난달까지 0.3% 보합세(KB국민은행 기준)를 보였지만 최근 규제 완화 기대감을 타고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들썩일 조짐이 나타난다. 3년 연속 물가와 집값의 동반 상승이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큰 상황이다.

경험적으로 물가와 집값은 연관성이 그리 크지 않다. 홍우형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물가는 유가, 기후 상황 등 대외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반면, 집값은 부동산 정책과 주택 수급 상황 등 정책 변수 영향이 더 크다”고 말했다.

실제 고물가가 이어졌던 이명박정부(2008~2012년) 시절 부동산은 상대적으로 상승 폭이 제한됐다. 직전 노무현정부 시기 집값이 많이 올랐던 데 따른 피로감과 이명박정부의 보금자리주택 집중 공급 등 수도권 주택 공급 확대 정책 영향 등이 겹쳤기 때문이다. 2012년 물가상승률은 2.2%였지만 주택가격 상승률은 0.0%로 변화가 없었다. 반대로 물가는 안정됐지만 집값이 들썩이던 때도 있었다. 박근혜정부 시절인 2015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7%로 전년(1.3%)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지만, 집값은 오히려 2014년 1.7%에서 이듬해 3.5%로 두 배 이상 올랐다.

최근 물가와 집값의 동반 상승세는 코로나 극복 차원에서 이어진 저금리와 재정 지출 등 유동성 확대 정책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유동성이 풍부해지면 자연히 화폐 가치는 떨어지고 실물자산의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부도 그동안 집값 상승의 원인으로 정책 요인보다는 ‘코로나 유동성’ 영향이 더 크다고 주장해왔다.

물가, 집값 동반 상승의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시중의 유동성을 줄이고 부동산 규제 완화에도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홍 교수는 “앞으로는 재정을 풀어 유동성을 늘리는 정책을 되도록 지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