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중·고등학생의 7.7%가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으며, 이 중 절반 가까운 44.6%가 노동인권 침해를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교육청은 학생 2614명과 교원 11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노동인권 실태조사 결과를 20일 밝혔다. 최근 1년간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학생은 7.7%로, 2018년 조사(15.9%)보다 8.2% 포인트 줄었다.
노동인권 침해 사례를 보면 근로계약서 미작성(31.2%)이 가장 많았고, 휴게시간 미준수(15.3%), 임금체불(12.9%) 등 순이었다. 이 같은 부당 대우를 경험한 학생의 43.5%는 일을 그만뒀으며, 33.7%는 참고 일했다고 답했다.
학생들의 아르바이트 업종은 음식점·패스트푸드점 서빙(32.7%)이 가장 많았다. 이어 전단지 돌리기(28.2%), 뷔페·웨딩홀 서빙(27.2%), 배달 노동(6.9%)이 뒤를 이었다. 아르바이트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활동’이라는 답변이 92.1%로 대부분이었다.
노동인권교육에 관한 교원과 학생의 인식 차이도 드러났다. 교원들은 52.8%가 2019년 이후 노동인권교육을 실시했다고 답했지만, 교육을 받았다고 답한 학생은 16.0%에 그쳤다.
양한주 기자 1wee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