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공천 잡음에 계파 싸움까지… 지방자치는 어디로 갔나

입력 2022-04-21 04:05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20일 서울시 여의도 이룸센터 앞에서 당내 서울시장 공천 관련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6·1 지방선거가 한 달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후보도 정책도 보이지 않는 비정상적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여야 모두 누구를 공천하느냐를 놓고 집안싸움에만 몰두할 뿐 최소한의 비전과 방향조차 제시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변변한 공약 하나 눈에 띄지 않는다. 지방선거를 대선의 연장전으로 여기고 정쟁만 벌이는 여야 지도부, 유력 정치인과 강성 지지층에 기대 계파 싸움에만 몰두하는 예비후보들 모두 한심하다. 1995년에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실시된 이래 이런 선거는 처음이다.

민주당에서는 20일 당 전략공천위원회의 송영길 전 대표, 박주민 의원 공천 배제 결정을 놓고 갈등이 폭발했다. 송 전 대표는 “이재명 전 후보의 정치복귀를 반대하는 선제타격”이라며 윤호중 비상대책위원장의 대선 패배 책임론을 꺼냈고, 윤 위원장은 전략공천위 결정이 외부에 유출된 경위를 조사하겠다고 맞섰다. 박지현 비대위원장은 노영민 전 대통령 비서실장의 충북지사 단수 공천에 빗대 “고무줄 잣대”라고 비난했다. 당권파와 비당권파의 명심(明心) 싸움이 문심(文心) 논란으로까지 번진 것이다. 국민의힘도 다를 게 없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선거 캠프에서 일했던 황상무 예비후보 단수 공천 결정은 김진태 전 의원의 단식 농성으로 며칠 만에 번복됐고, 대구에서는 윤심(尹心)과 박심(朴心)을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는다. 참신한 인재를 발굴해 유권자의 선택을 받겠다던 약속은 말뿐이었다. 여야 모두 유권자는 안중에도 없다. 집안에서 권력 싸움만 하고 있다.

주요 광역단체장 공천이 이 지경이니 기초단체장, 지방의원, 교육감 선거는 아예 깜깜이가 됐다. 유권자는 이름도 들어보지 못한 예비후보들이 서로를 고소하며 싸운다. 지방의원 선거구는 아직 획정되지도 못했다. 11개 선거구에 시범 적용하는 중대선거구를 놓고 벌써부터 반발이 거세다. 유권자는 지난 대선 때처럼 차악을 찾아야 하는 혐오 선거를 다시 치러야 할 판이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지방자치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야 한다. 유권자는 우리 동네를 위해 봉사할 일꾼을 뽑고 싶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