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울진·울릉·영덕지역의 인구 감소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기반 확충과 정주여건 개선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 포항본부가 최근 발표한 ‘경북 울진·울릉·영덕군 인구감소 배경과 시사점’ 조사연구보고서에 따르면 1992년 14만7000명이던 이 지역 인구는 2021년 9만2000명으로 5만5000명(37.4%) 줄었다. 연령별로는 50대를 제외한 대부분 연령층에서 순유출이 발생하고 있고 특히 20∼30대가 많았다. 다른 지역으로 거주지를 옮긴 이유는 직업(취업·사업·직장이전 등)이 40.4%로 가장 많았으며 가족(29.5%) 주택(13.4%) 순으로 조사됐다. 주요 전출지역은 포항 16%, 대구 13.7%, 경기 10.8%, 서울 10% 순이었다.
인구 감소는 공공부분에 편중된 일자리와 제조업이 발달하지 못해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2018년 기준으로 3개 군의 지역내 총생산에서 제조업 비중은 2.5%에 불과하고 전기·가스 25.0%, 행정 15.5%로 집계됐다. 주거·교통·교육·문화 등 생활여건이 열악한 것도 문제다. 노후주택 비율이 높은데다 고속도로, 철도 등의 접근성이 떨어지고 교육·문화시설도 부족하다.
한국은행 포항본부는 산업기반 확충을 위해 원자력·풍력발전, 그린수소,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등 신에너지산업 투자 강화와 해양레저 및 치유관광 기반 구축, 어업 경쟁력 강화, 귀농·귀어·귀촌 장려 등을 대응방안으로 제시했다.
또 도로·철도·항공 기반시설 확충을 통한 접근성 향상, 교육·문화·보건·복지시설 등 생활밀착형 사회기반시설 구축, 도시재생 및 뉴딜사업 추진이 필요하다고도 밝혔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
울진·울릉·영덕 떠나는 2030 29년간 인구 5만5000명 감소
입력 2022-04-21 04:09 수정 2022-04-21 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