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 찬스’ 해명했지만… 딸 면접 만점·아들 병역 여전한 의혹

입력 2022-04-18 04:05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17일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하다 안경을 고쳐 쓰고 있다. 정 후보자는 두 자녀의 경북대 의대 편입학 특혜 의혹에 대해 “저의 지위를 이용한 어떠한 부당 행위도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한형 기자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는 17일 기자회견에서 두 자녀의 경북대 의대 편입학 특혜 의혹, 아들의 병역 회피 의혹 등 ‘아빠 찬스’ 논란에 대해 요목조목 반박했다.

정 후보자는 경북대병원 부원장·원장으로 있을 때 두 자녀의 경북대 의대 편입에 관여한 것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 “학사 편입 선발 과정은 이중삼중의 투명한 견제 장치 속에 공정하게 이뤄졌다”고 강조했다. 또 아들이 척추 질환으로 사회복무요원 판정을 받은 과정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세 명의 의사가 엄격한 절차에 따라 판정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딸의 편입 면접에 정 후보자 지인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해 만점을 준 과정과 아들이 척추 질환 진단 후 1년9개월간 병원을 찾지 않은 사실 등은 여전히 의문으로 남아 있다.

“면접 심사위원, 추첨으로 배정”

정 후보자는 편입 특혜 의혹에 대해 “두 자녀 모두 주관성이 개입되는 면접과 서류평가의 점수가 기계적으로 산출되는 학사와 영어 성적보다 낮은 점을 보면 특혜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특히 동료 교수들이 딸의 구술고사 심사위원으로 들어가 만점을 준 것에 대해선 “심사위원은 추첨으로 배정하기 때문에 특정 학생과 교수가 만날 확률은 천문학적인 통계에 가깝다”며 “부탁이 일절 이뤄질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심사위원들이 같은 대학병원 고위직 자녀의 신분을 모를 수 없다는 점에서 구술평가 점수를 후하게 줬을 가능성에 대한 의혹은 여전하다.

“아들 다시 신체검사 받겠다”

정 후보자는 아들의 병역 등급이 2010년 2급 현역에서 5년 후 4급(사회복무요원)으로 변경된 이유에 대해 “아들이 2010년엔 재수 중이어서 입영 연기 신청을 했고, 2013년 대학 재학 중 왼쪽 다리가 불편해서 경북대병원에서 MRI를 촬영해보니 척추 협착증 소견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2015년 10월 재검 통보서가 와서 다시 경북대병원에서 MRI를 촬영해 같은 소견을 받았다”며 “신체검사장에서도 다시 CT 촬영을 했고 판정 의사가 4급으로 판정했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그러면서 “의혹이 계속되면 아들이 다시 한번 검사와 진단을 받겠다”고 밝혔다.

다만 아들이 2015년 재검을 받기 전 1년9개월간 병원을 찾지 않은 이유에 대해선 여전히 의문이 남는다. 이에 대해 정 후보자는 “일반적으로 척추 질환은 완치가 어려워 아플 때 소염제를 먹으며 대처한다”며 “아들은 진통제를 먹거나 본인의 의료 지식으로 스스로 관리했다”고 해명했다.

정 후보자는 아들이 의대 편입 전 학부생 시절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등재 논문 두 편에 공동저자로 이름을 올린 것에 대해 “아들이 지도교수인 박모 교수와 진로 상담을 하던 중 헬스케어 분야에 평소 관심이 많아 논문 작성에 참여하고 싶다고 얘기했고, 교수가 이를 허락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후보자는 “박 교수와 나와는 서로 친분이 없었다”고 강조했다.

경북대병원장 시절 경북대 의대 동창회 친목 모임을 위해 외유성 미국 출장을 떠났다는 지적에 대해 정 후보자는 “매년 역대 경북대병원장과 의과대학장은 관례로 장학금 후원 등에 감사하는 차원에서 동창 회원을 방문했다. 이 또한 병원장으로서 중요한 업무”라고 해명했다.

안규영 송경모 기자 ky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