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림화’ 기조 정책실장직 폐지… 민정·일자리·인사수석도

입력 2022-04-18 04:06
사진=뉴시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실 수석비서관 인선을 신중하게 진행하고 있다. 대통령실 소속 참모들은 국회 인사청문회 절차를 거치지 않아 급하게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윤 당선인은 또 문재인정부에서 부활했던 청와대 정책실장직을 폐지하기로 확정했다. ‘대통령실 슬림화’ 기조 속에 기존 8개 수석실 체제도 5개 수석실로 축소 개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윤 당선인 측 관계자는 17일 “대통령실 참모 인선을 마무리하는 데는 시간이 조금 걸릴 것”이라며 “일부 수석은 인선이 끝났으나 다른 수석들의 인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4월 마지막주 초에 대통령실 참모 인선이 발표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장 측과 대통령실 인선에 관해서도 일부 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실제 윤 당선인은 지난 13일 김대기 비서실장 인선 사실을 발표한 이후 대통령실과 관련해서는 추가 인선 결과를 내놓지 않고 있다.

다만 국가안보실장에는 김성한 전 외교부 2차관, 정무수석에는 이진복 전 의원, 경제수석에는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가 각각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차관은 윤 당선인의 ‘외교안보 과외교사’로 알려졌다. 이 전 의원은 3선 의원 출신이고 김 교수는 현재 인수위 경제1분과 위원이다.

‘대통령실 슬림화’ 기조에 따라 정책실장직은 폐지될 예정이다. 기존의 민정수석과 일자리수석, 인사수석도 사라질 전망이다. 특히 민정수석 폐지는 윤 당선인의 대선 공약이다. 이렇게 되면 정무·경제·국민소통·사회·시민사회 등 5개 수석실만 남게 된다.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은 이날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실은) 좀 슬림화하겠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며 “정책실장은 경제수석이라든지, 정책 관련 수석들이 있기 때문에 폐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인수위 측 관계자는 “대통령실 인사 업무 책임자를 중량급으로 가느냐, 실무적으로 따지느냐에 따라 인사수석 직위를 기획관으로 바꾸는 등 이름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