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이 대선 기간 합의한 공동정부 운영이 삐걱거리고 있다. 안 위원장은 14일 인수위 출근을 하지 않았다. 13일에는 예정됐던 윤 당선인과의 도시락 회동에 불참했다.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합당도 보류됐다. 파국을 의식한듯 두 사람은 이날 예정에 없던 만찬 회동을 함께 하며 그동안 쌓였던 여러 문제들을 논의했다고 한다. 만찬에서 나눈 얘기들이 어떤 식으로 실천될지는 지켜봐야 할 듯하다.
두 사람이 갈등을 빚은 근본적인 원인은 내각 인선 때문으로 보인다. 윤 당선인은 세 차례에 걸쳐 국무총리와 18개 부처 부총리·장관 인선을 마무리했다. 어디에도 안 위원장이 추천한 인사는 없었다. 윤 당선인과 안 위원장은 지난달 3일 후보 단일화를 하며 “인수위원회 구성부터 공동정부 구성까지 함께 협의하겠다”고 발표했다. 시작은 좋았다. 윤 당선인은 안 위원장을 인수위원장에 임명하며 국민통합정부의 시작을 강조했다. 인수위원 24명 중 3분의 1인 8명이 안 위원장이 추천한 인사였다. 공동정부 구상은 내각 인선에서 어그러지기 시작했다.
윤 당선인은 이날 “공동정부라는 건 함께 훌륭한 사람을 찾아서 임무를 맡기는 것”이라며 “누구 사람, 누구 사람이라는 게 따로 있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공동정부 몫이나 지역·성별 안배 대신 능력과 인품이 인사의 기준이라는 논리다. 윤 당선인의 주장이 설득력을 얻으려면 첫 내각이 국민의 눈높이를 만족시켰어야 한다. 지금 상황은 그렇지 않다. 기대보다 걱정이 더 많은 내각이라는 평이 다수다. 이명박·박근혜정부 인사들의 부활, 전직 관료와 법조계, 서울대 중심의 인사라는 박한 평가가 나온다.
공동정부는 불편한 정치적 실험이다. 쉽게 이루어질 것이라고 생각한 사람은 없었다. 가치관도 다르고 체급도 다른 두 세력이 쉽게 융화하지 못할 것이라는 비관론이 우세하다. 그럼에도 공동정부 약속을 응원했던 것은 우리 정치에도 분권과 협치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줬으면 하는 기대 때문이었다. 안 위원장의 처신도 아쉬웠다. 인수위는 곧 윤석열정부의 국정과제를 정리하고 발표해야 한다. 책임자인 안 위원장이 업무를 거부하는 모습을 보이면 인수위 파행이 불가피하다. 인수위를 잘 이끌겠다는 약속도 공동정부 약속만큼 중요하다. 두 사람이 분권과 협치를 바라는 국민의 뜻을 받들어 초심을 계속 지켜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불편하겠지만, 그게 윤석열정부의 성공을 향한 길이다.
[사설] 윤석열·안철수 공동정부 약속은 지켜져야 한다
입력 2022-04-15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