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서울 구로구 신도림 디큐브시티 오피스동 21층 SK텔레콤의 거점 오피스 ‘스피어’에 들어서자 얼굴인식 기기가 설치된 출입구부터 눈에 띄었다. 인공지능(AI)이 얼굴을 인식하고 ‘지체 없이’ 문을 열어준다. 다른 얼굴인식 보안시설과 달리 마스크를 벗지 않아도 되고, 인식 속도도 굉장히 빨라 걸음을 멈추지 않아도 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14일 “단 0.2초 만에 얼굴을 판별해 문을 열어주기 때문에 출입구에서 문이 열리기까지 기다리는 시간을 아낄 수 있다”고 말했다.
스피어로 출근하려는 직원들은 ‘스피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업무 가능한 빈 좌석이 몇 개 있는지 미리 파악하고 예약하면 된다. 특히 ‘맨몸 출근’이 가능하다는 건 큰 장점이다. 일부 좌석에 클라우드 PC를 갖춰 개인 노트북을 가지고 가지 않아도 업무 수행이 가능하다. 이 좌석에 비치된 태블릿PC에 얼굴을 인식하면 직원 개인이 미리 설정한 가상 데스크톱 환경과 연동된다. 평소 사용하던 PC와 같은 환경에서 업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개방형 좌석에서 화상회의를 하는 게 부담스럽다면 ‘1인용 회의실’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인용 회의실을 홀로 사용하느라 다른 직원들 눈치를 볼 필요가 없도록 배려한 공간이다. 오큘러스 퀘스트 HMD(머리 착용 디스플레이)를 쓰고 가상공간에서 다른 직원과 소통할 수 있는 시설도 마련돼 있다.
SK텔레콤은 기존 사무실이 지닌 공간 제약을 극복하고 출퇴근 부담없이 일할 수 있도록 서울 신도림, 경기도 일산·분당 3곳에 거점형 업무 공간을 마련했다. 수도권에 근무하는 직원 4300명의 거주지와 수요, 업무 특성을 고려했다. 신도림 스피어의 경우 디큐브시티 오피스 건물 2개 층에 좌석 170개를 설치했다. ‘경계 없는 업무’를 목표로 한다.
SK텔레콤에 따르면 3개 거점 오피스의 이용률은 평균 60% 이상을 기록 중이다. 그만큼 직원 만족도가 높다는 설명이다. SK텔레콤은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거점 오피스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7월 서울 광진구에 있는 워커힐 호텔에 ‘워케이션’(Workation, 일과 휴가의 결합을 뜻하는 신조어) 콘셉트의 스피어를 선보일 예정이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