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산불과 대형화재 예방·진화 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 최근 발생한 울진·삼척 산불처럼 산불이 대형화, 장기화되고 전통시장 화재 등 도심 내 대형화재도 자주 발생해 기존의 인력과 장비 만으로 대응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는 데이터와 과학기술에 바탕을 둔 ‘산불방지 대응역량 강화 계획’을 마련했다고 13일 밝혔다. 최근 기후변화로 겨울철 가뭄이 심해져 산불 발생이 많아졌다. 또 우리나라의 경우 산에 두꺼운 낙엽층이 생겨 산불 진화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3대 전략(산불방지 인프라 강화, 산불전문인력 확대·양성, 대주민 홍보)을 마련해 5년 동안 추진한다.
시는 산불 초동진화에 가장 중요한 항공진화대가 주불을 신속히 진압할 수 있도록 헬기 담수량을 기존 6400ℓ에서 1만1500ℓ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적재량 3000ℓ 산불 대형헬기를 추가 도입하고 구·군이 운영하는 임차헬기 3대를 모두 중형급으로 상향한다. 또 헬기가 골든타임(30분 이내) 내에 현장 도착 가능하도록 산불조심기간에 계류장에서 상시 대기하는 신속대응 체계를 도입한다.
지상진화 역량도 강화한다. 산불진화에 전문화된 산불특수진화대(12명)를 새로 만들고 기존의 산불예방전문진화대도 80명에서 160명으로 2배 늘린다.
대형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전통시장 화재 예방에도 나선다. 상인들의 피해를 줄여줄 수 있는 화재보험도 지원한다. 대구의 경우 전통시장 상인들의 화재공제 가입률이 8.3%로 전국 평균 18.9%(지난해 9월 기준)보다 저조하다. 이에 시는 화재공제보험료의 70% 정도를 신규 지원하기로 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