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의 최측근인 이태규 국민의당 의원의 인수위원 사퇴 선언으로 인수위 내부가 뒤숭숭한 분위기다. 인수위는 윤석열정부 출범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서 발생한 돌발 암초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인수위는 이 의원의 사퇴가 ‘윤석열·안철수 공동정부’ 구상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며 진화에 주력했다.
하지만 12일 안 위원장이 8명의 장관 후보자를 지명했던 내각 1차 인선에 자신의 뜻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취지의 발언을 내놓으면서 공동정부에 대한 이상기류가 이어지는 형국이다.
안 위원장은 이날 서울 종로구 서울지방경찰청을 방문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이 의원이 먼저 제게 사임 의사를 밝혔다”면서 “(이 의원이) 대선과 후보 단일화 과정에서, 인수위를 하면서 여러 가지 힘든 점이 많았던 것 같다”고 말했다.
안 위원장은 ‘이 의원이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이 힘들었다고 했느냐’는 질문엔 “개인적인 이야기”라며 답을 피했다. 이 의원의 인수위 복귀 가능성에 대해선 “본인의 마음에 달린 것 아니겠나”라고 말했다.
특히 안 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내각 1차 인선과 관련해 “인선 과정에서 전문성 있는 분야에 대해 (윤 당선인에게) 조언을 드리고 싶었지만 그런 과정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인선 과정에 대한 불만을 우회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안 위원장은 또 “지난 3월 야권 후보 단일화를 하면서 (윤 당선인과) 공동으로 정권을 운영하겠다고 대국민 약속을 했다”며 공동정권 합의 사실을 상기시켰다. 이어 “새 정부의 청사진을 제대로 그려가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며 “(이를) 제대로 실행에 옮길 만한 능력 있는 분들을 추천해 드렸지만 인사는 당선인의 몫”이라고 말했다. 윤 당선인이 지난 10일 발표한 8명의 장관 후보자 중 안 위원장 측 인사는 한 명도 포함되지 않았다.
이 의원이 사퇴를 결심한 결정적 원인은 인사에 대한 섭섭함 때문으로 알려졌다. 이 의원은 윤석열정부 첫 행정안전부 장관 자리를 원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윤 당선인 측이 행안부와 법무부 장관에 정치인을 배제하기로 하면서 뜻을 이루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당선인 측은 진화에 나섰다.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은 이날 서울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의원과 계속 함께했으면 좋겠다. 저는 (이 의원에 대한) 신뢰에 전혀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장 실장은 ‘인사 문제가 이 의원 사퇴에 영향을 미쳤느냐’는 질문에 “저는 아니라고 본다”고 선을 그었다. ‘공동정부 구상이 파열음을 빚는 것 아니냐’는 물음에 대해서도 “안 위원장이 계신데 파열음은 없다”고 강조했다.
나머지 10개 부처 장관 후보자 중 안 위원장 측 인사가 얼마나 포함될지가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인사 문제가 원만히 해결되지 않을 경우 공동정부뿐만 아니라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의 합당도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국민의힘은 향후 국민의당 당직자 퇴직금과 채무 약 17억원을 부담할 계획이다. 양당은 6·1 지방선거 공천 과정에서 국민의당 후보가 나서는 지역의 후보군이 3명 이상일 경우엔 당원을 제외한 100% 여론조사 방식을 적용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