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수돗물 취수지점인 낙동강에서 발암물질로 분류된 과불화옥탄산 등이 검출됐다. 다만, 고도 정수 처리한 수돗물은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는 최근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에서 시행한 수질 조사 결과, 물금·매리취수장 원수에서 과불화옥탄산이 먹는 물 수질 기준 최대 22.9%가 검출됐다고 21일 밝혔다. 1,4-다이옥산은 먹는 물 수질 기준(50㎍/L) 범위 내에서 2%가량 나왔다. 그러나 고도 정수한 수돗물에서는 과불화옥탄산은 감시기준의 8.6%~14.3%로 떨어지고, 1,4-다이옥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과불화옥탄산은 프라이팬의 코팅제, 아웃도어 발수제, 자동차 코팅제 등으로 사용되는 물질로 국제암연구소에서 발암가능물질(2b)로 분류하고 있다.
시는 이번 미량오염물질 검출이 낙동강 중상류 주요 하·폐수종말처리장의 영향으로 보고 있다. 1월부터 내린 비의 양이 충분하지 않으면서 상류 댐의 방류량이 평상시보다 적은 점도 과불화옥탄산 검출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했다.
시는 먹는 물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미량오염물질로부터 안전한 수돗물 만들기에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우선 낙동강통합물관리방안에서 추진 중인 황강하류·낙동강본류 강변여과수 확보와 낙동강 표류수 초고도 처리 등 취수원 다변화가 조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 및 해당 자치단체와 적극 협의할 계획이다.
또 상류지역 미량오염물질 배출업소 추적조사와 오염물질 차단을 위한 조치를 환경부에 요청할 예정이다. 환경기초시설 등에 유입되는 미량오염물질에 대한 처리방안과 방류수에 대한 배출기준을 마련해 줄 것도 적극 건의한다.
낙동강 수질 개선을 위해 공장폐수의 공공하수처리장 유입을 배제하는 방안과 미량오염물질을 먹는 물 수질 ‘감시항목’이 아닌 먹는 물 ‘수질 기준’에 포함해 관리하는 방안도 환경부에 요청할 방침이다. 시는 먹는 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정수장의 입상활성탄 교체 주기를 3년에서 1년으로 단축하고 5월까지 분말활성탄 투입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