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코로나 확진 학생의 중간고사 응시 허용해야

입력 2022-04-12 04:05
교육부가 코로나19 확진 학생들의 중간고사 응시를 불허하겠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으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과거 코로나 때와의 형평성, 확진 학생 이동에 따른 감염병 확산 우려 등을 이유로 들었다. 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종료를 앞두고 정부가 공공연히 엔데믹(풍토병화)을 언급하는데 과거 전례만 갖고 무작정 시험을 보지 못하게 하는 것은 문제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도 11일 “코로나 확진 학생에 대한 교육부의 내신 시험 응시 제한 방침에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방역 당국조차 최근 “교육 당국이 (학생들의 시험)관리 계획을 마련할 경우 지원할 수 있다”고 했는데 교육부만 외골수인 셈이다. ‘사적 모임 10명, 다중이용시설 밤 12시까지 영업’이 골자인 현 사회적 거리두기는 오는 17일 종료된다. 이후 실내 마스크 착용 정도만 남긴 채 거리두기 조치는 해제될 예정이다. 확진자 수도 48일 만에 10만명을 하회하는 등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가 강조해온 과학 방역 기조를 고려하면 학교만 비상 사태식 해법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

고등학생들에게 내신은 대입에 직결되는 부분이다. 당국은 확진 학생의 결시 전후 성적을 일정 비율 반영하는 ‘인정점’을 부여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많은 학생들은 인정점이 대입에 불리하다고 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확진자가 중간고사를 보지 못하게 하면 확진 사실을 숨기고 시험 보는 일이 속출할 것이다. 오히려 코로나 확산을 더욱 부채질할 수 있다. 확진자들은 지난 2년간 대학수학능력시험 및 국가공인시험들을 무사히 치른 바 있다. 물론 당일 하루 치는 시험과 3~5일 소요되는 중간고사와는 차이가 있다. 하지만 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실행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 별도의 반 편성, 체육관 활용 등의 방법도 있다. 말없이 마스크 쓴 채 시험을 보는 장소가 무수한 인파가 몰린 벚꽃 유원지나 출근길 지하철보다 위험하다고 볼 사람은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