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초의 창작시집은 ‘해파리의 노래’다. 한국 최초의 번역시집인 ‘오뇌의 무도’를 발간했던 김억의 첫 시집으로 1923년 2월 조선도서주식회사에서 출판됐다. 내년 이 시집을 기점으로 하는 한국 현대시 100년을 맞아 열린책들이 ‘한국 시집 초간본 100주년 기념판’(사진)을 선보였다. ‘해파리의 노래’부터 윤동주의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1948년)까지 한국 현대시 탄생의 순간들을 보여주는 20권의 시집 초간본을 복간했다.
열린책들은 “한국 현대시사에서 20세기 초는 시대적 고통과 개인의 천재성이 만나 탁월한 시집이 다수 출간된 시기였다”고 밝혔다. 김소월, 한용운, 백석, 정지용, 윤동주, 임화, 이용악 등이 이 시기 대표 시인들이다. 하지만 시집 자체가 없어지거나 절판된 경우가 많고 한글 표기법이 변하고 출간 당시의 오식도 있어 이해도 어려웠다. ‘100주년 기념판’은 초간본대로 배열하고 편집하되 표기와 맞춤법을 오늘날에 맞게 수정했다. 책임편집한 이남호 고려대 명예교수는 10일 “한국 현대시를 대표할 만한 시집들의 초간본을 다시 출간하는 일은 점점 과거 속으로 사라져 가는 것에 새로운 생명을 부여해 여전히 오늘의 것이 되게 하는 일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남중 선임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