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6·1 지방선거 서울시장 후보 선출 문제를 놓고 내홍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송영길 전 대표는 지난 8일 박지현 공동비상대책위원장으로부터 “민주당을 다시 패배의 늪으로 밀어 넣고 있는 것 아니냐”는 공개 비판을 받았지만 서울시장 출마 의사를 굽히지 않았다.
송 전 대표는 10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윤호중 비대위원장이 모든 중진의원은 독배를 들 각오로 당에서 요구하면 얼마든지 출마 준비를 하라고 공개적으로 요구했다”면서 “저는 당원의 한 사람으로서 비대위원장의 말을 정확히 따른 것”이라고 출마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당내 반발은 더욱 커지고 있다. ‘송영길 불가론’을 적극 펴고 있는 김민석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강경화 전 외교부 장관과 강병원 의원, 김현종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 박용만 전 두산그룹 회장 등 ‘서울시장 신4인방’을 띄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낙연 정세균 추미애 박용진 박영선 등 대선주자급 후보군은 본인 의사와 무관하게 호출 준비를 하되 가급적 마지막 카드로 남겨두고 경쟁력을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경기지사 후보 자리를 놓고는 ‘반(反)김동연 단일화’ 제안이 등장했다. 경기지사 출사표를 던진 안민석 의원은 이날 당내 경쟁자인 조정식 의원과 염태영 전 수원시장에게 김동연 새로운물결 대표에게 맞서기 위한 단일화를 제안했다.
안 의원은 “(세 사람의) 단일화로 김 대표와 일대일 대결을 만든다면 민주당 경선이 흥행하고 경기지사 선거 승리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조 의원과 염 전 시장의 반응은 엇갈렸다. 염 전 시장 측은 “(단일화에) 동의한다. 방법은 합의만 되면 어떤 방법이든 가능하다”고 밝혔다. 반면 조 의원은 국회 기자회견에서 “이미 후보 간 단일화는 없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며 “본선 경쟁력을 높여 승리하기 위해서는 단일화보다는 김 대표를 포함한 후보 간 자질과 능력 검증을 위한 TV토론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승욱 김승연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