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을 지났다고 판단해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 체계로 전환을 모색 중이다. 코로나19를 풍토병처럼 관리하는 ‘엔데믹 시대’로 가겠다는 것이다. 이번 주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하면서 방역·의료체계의 일상 회복을 목표로 한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 체계를 함께 공개할 가능성이 크다. 코로나 사태가 길어지면서 자영업자와 취약계층의 고충이 큰 만큼 그 방향성에 이견이 없을 것이다. 관건은 철저한 준비다. 자칫 방향만 앞세운 밀어 붙이기식 행정을 펼칠 경우 예기치 않은 후유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 대책의 핵심은 의료체계 일상화다. 3년째 비상 상황에 맞춰 가동됐던 방역·의료체계를 다시 일상 체계로 되돌리는 것이다. 생활치료센터와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현재 1등급 감염병으로 지정된 코로나19를 2급으로 조정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등급이 하향될 경우 격리 의무가 조정되고 치료비 전액 국가 지원이 없어진다. 하지만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가 더디게 줄고 있다. 중환자 병상 부족은 인명 피해로 직결될 수 있기 때문에 병상 감축은 확진자 상황을 보면서 조절할 필요가 있다. 신종 변이 출현도 변수다. 변이 등 여러 돌발 변수를 감안해 계획을 세워야 하겠다.
‘롱코비드’ 대책도 서둘러야 한다. 격리 기간이 끝났거나 회복 후에도 각종 후유증에 시달리는 이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성인의 7% 정도가 앓는다는 미국 조사 결과가 있다. 이들은 면역체계가 파괴돼 다양한 만성질환을 겪을 위험이 크다. 그럼에도 이들을 위한 클리닉이 부족해 치료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미국 영국 등이 코로나 초창기부터 후유증 관리에 신경을 썼던 것에 비해 국내에는 이에 대한 준비가 부족하다. 소아·청소년 대상 연구는 거의 없다. 구체적인 연구를 통해 이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앞장서야 할 것이다.
[사설] 포스트 오미크론 체계, 롱코비드 대책도 서둘러야
입력 2022-04-11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