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일인 5월 10일부터 용산 국방부 청사 집무실에서 업무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윤 당선인은 취임 직후 청사 내 ‘공식 집무실’이 아닌 ‘임시 집무실’에 우선 입주할 전망이다. 서울 종로구 통의동의 당선인 집무실을 연장해 사용할 가능성은 희박해졌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관계자는 7일 브리핑에서 “윤 당선인은 새 정부가 출범하는 5월 10일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안보 공백 없이 집무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대통령 집무실 이전의 핵심은 ‘위기관리센터(벙커)가 완비될 것인가’와 ‘새 대통령이 이전하는 국방부 청사에서 집무를 시작할 것인가’라는 두 가지”라면서 5월 10일 전까지 두 조건을 모두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인수위는 국방부 청사 내 위기관리센터 구축과 관련해선 “합동지휘통제체계(C4I)로 불리는 군사전술통제시스템과 재난재해연결시스템이 완비되고, 소방과 경찰까지 다 연결돼야 한다. 그 소프트웨어를 연결하는 작업이(끝나야 한다)”며 “5월 10일 전까지 이것은 완비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방부는 청사 5~10층에 있는 부서들부터 이전하며, 한·미 연합 군사훈련 유관 부서가 자리 잡은 1~4층은 오는 28일 훈련이 끝난 뒤에 이전할 계획이다.
윤 당선인 측은 청사 2층이나 3층에 대통령 집무실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우선 사무공간 공사’가 진행되는 5층에 임시 집무실을 조성해 취임일부터 사용한 뒤 공식 집무실이 완성되면 정식 입주하는 방안에 힘이 실린다.
인수위 관계자는 “(집무실 조성이 지연되면 국방부 청사 주변에) 텐트를 친다는 말까지 나오는데 그렇지 않도록 플랜B, 플랜C 등 만반의 준비를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당초 집무실 이전을 위한 예비비 처리가 늦어지면서 윤 당선인이 취임 이후 일정 기간 통의동 집무실을 그대로 쓸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그러나 인수위 관계자는 “그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5월 10일 대통령과 최소한의 참모들이 (국방부 청사에서) 집무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실무자들에게 들었다”고 말했다. 예비비 추가 협상에 대해선 “(청와대가) 나머지 금액도 협조해주기로 했다. 크게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장 실장은 새 정부에 별도 명칭을 두지 않고 ‘윤석열정부’로 명명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는 뜻도 밝혔다. 장 실장은 “윤석열이라고 하면 공정과 상식, 정의(라는 이미지가) 너무 분명하지 않나”라며 “윤석열이라는 이름의 단어보다 더 명확하게 우리 정부의 갈 방향에 대해서 할 수 있는 무슨 단어가 있을까 하는 고민 속에서 ‘윤석열정부’로 간다는 게 많은 인수위원의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