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송파구의 한 아파트 세대별 소화전에 아이와 여성 등 입주민 이름이 적혀 있다는 의혹이 제기돼 경찰이 확인한 결과 우체국 직원이 업무 편의상 남겼던 표시였던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아파트 한 입주민은 지난 5일 인터넷 커뮤니티에 “택배기사나 배달원이 적어놨다고 하기엔 7개월밖에 안 된 아기 이름이어서 심각한 문제로 인지하고 다른 집 앞도 확인했다”며 “4개 동을 돌아보니 모두 소화전 윗부분에 이름이 쓰여 있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적힌 이름들은 주로 여성과 어린이, 노약자였고 남성의 이름은 매우 적었다”며 “현관문 옆에 ‘5759’가 적혀 있는데,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이 숫자는 히브리어로 ‘어린아이’라는 뜻”이라며 불안감을 호소했다. 이후 인터넷상에서 문제의 글을 둘러싼 논란과 괴담이 번졌다.
서울 송파경찰서가 신고를 접수해 아파트 CCTV 등을 확인한 결과 소화전에 메모를 남긴 이는 우체국 직원 B씨로 나타났다. B씨는 “효율적인 배송을 위해 이름을 적었다”고 경찰과 관리사무소 측에 해명했다. 아파트 호수만 보면 헷갈릴 수 있어 배달 사고 방지를 위해 이름을 써뒀다는 것이다. 7개월 된 아기 이름이 적힌 것은 해당 입주민이 아기 이름으로 택배를 받은 적이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다만 B씨는 “소화전 위에 이름만 적었을 뿐 현관문 옆 숫자는 내가 적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5759 등의 숫자가 전에 살던 입주민과 관련된 것으로 파악했으나, 누가 언제 작성했는지는 규명하지 못했다. 다른 택배기사 등이 배송 편의를 위해 메모했을 가능성이 있다.
안명진 기자 amj@kmib.co.kr